BULLETIN BOARD

영어 대가 Mosit선생님과 함께 한 문제들

ENARO 2008. 5. 21. 02:41
영어전문가 Mosit선생님과 함께 한 문제들

Title: 효과적인 독해 공부 방법
(Q)제가 요 근래에 영어 관련 책을 좀 봤는데요. 하광호 교수님이 지은 책이랑 정철 영 어 공부 혁명 이란 책에서 둘 다 영어 기초가 안되어 있으면 중 2, 3 학년 교과서부 터 외우라고 하더라고요. 저도 그래서 이번에 중 2, 3학년 교과서를 외우려고 하는데 테이프가 없거든요... 근데 중학교 교과서 2, 3 학년 것을 외우는 거에 대한 mosit선 생님 조언을 듣고 싶어서요. 아니면 더 괜찮은 자료로 더 좋은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 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공부 순서 좀 가르쳐주세요!
(ANSWER)
중학교 2 ∼ 3 학년 교과서를 외우는 것을 분명히 반대합니다. 하광호 선생님이나 정철 선생님의 취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나 그 분들이 파악하지 못한 것들이 있습니다. 두 가지 이유를 제시합니다.
① 우선 우리나라 중학교 영어교과서의 질 문제입니다. 질적으로 상당히 많은 문제점이 있습니다. 특히 잘못된 어법, 잘못된 논리.... 등이 상당수가 있습니다. 이주영 선생님이 “사오정 영어”라고 표현하시는데 이주영 선생님이 지적하신 것 보다 더 많은 오류가 있습니다.
② 분량이 너무 많습니다. 우리두뇌는 암기 훈련을 하면 할수록 암기를 잘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영어와는 친숙하지 않은 학생들에게 많은 분량을 주고 하라면 곧 지겨워집니다. 중학교 영어교과서 한 권을 암기하는데 저 같은 경우 1주일이면 충분합니다. 하광호, 정철 선생님도 아마 마찬가지입니다. 이런 입장과 영어에 친숙하지 않은 학생들의 입장은 180。다릅니다.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은 몇 달이 소요될지 측정할 수 없습니다. 우선 단어를 암기해야지, 단어도 제대로 암기하지 못했는데 구문을 암기해야지... 이러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지겨워서 중도에 포기하게 됩니다. 일본 중학교 영어교과서 몇 권을 가지고 있는데 분량은 페이지 수가 상당히 적은 얇은 소책자 같은 느낌을 받습니다. 구성 자체도 반드시 필요한 것만 제시되어 있지 우리 교과서처럼 번잡스럽지도 않고 내용도 재미있습니다. 그러나 우리 교과서는 대부분 내용이 너무 지겹습니다.
아래 방법을 응용해 보세요.
중학교 2학년 조카 녀석에게 영어를 직접 가르치고 있습니다. 이 녀석은 서울 시내 변두리 학교에서 반에서 10등 정도에 겨우 들어가는 녀석입니다. 이 녀석에게 있는 가장 큰 문제점은 암기하기를 싫어하고 여기에 생각하기를 싫어하는 놈입니다. 사실 최악의 경우입니다. 장점은 비교적 대범한 편입니다. 꾸지람을 듣고도 그렇게 새겨두지 않습니다. 그리고 시키면 시킨대로 군소리없이 꾸준히 합니다. 그리고 한 건물에 있기 때문에 시간에 구애를 받지 않습니다.
이 녀석을 그냥 두어서 안되겠다고 생각하고 영어교습을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중학교 2, 3학년 교과서 뒤에 나오는 단어를 모두 암기하게 했습니다. 급한 대로 “draw = 끌다, 그리다”이런 식으로 암기를 시켰습니다. 거의 매일 하루에 30개씩 단어 시험을 보았습니다. 1,000개 정도가 끝나고 다시 그 단어를 하루에 60개 정도로 암기시키고 단어 시험을 봅니다. 이제는 단어 2,000개 가량을 암기하여 이 방법을 중단하려고 합니다. 이 다음부터는 반드시 두 단어 이상을 함께 암기시키려고 합니다.
영어교과서 뒤에 나오는 단어부터 시작한 것은 학교 공부를 할 때, 시험을 볼 때 이미 단어를 대략적으로 암기했기 때문에 학교 수업에 보다 충실해지고 학교 시험을 대비하여 공부할 때 훨씬 쉬워집니다.
단어 암기와 병행하면서 성문기본이라는 책으로 독해만 하루에 하나를 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 녀석이 무척 어려워하고 있습니다. 미리 예습을 하지 못하도록 책 전체에서 당일 아무 곳에서 독해 지문을 하나 선정합니다. 아예 종이를 하나 접어서 독해 내용을 첫 문장을 제외하고 가려버립니다.
In a battle, the wounded soldier may, till the fight is over,
이 내용을 정확하게 해석하지 못하는 경우 단어의 의미를 알고 있나 확인해 봅니다. 첫 번째 문장이 해결되면 그 다음에 어떤 내용이 나올 수 있는지 우리말로 5 개 이상 글짓기를 하라고 하면서 책을 덮어 버리고 가져옵니다.
몇 개의 문장을 완성하고 나면 그 내용을 검토하여 논리적으로 하자가 있는 경우 attack를 합니다. the wounded soldier? 부상이 어느 정도로? 부상이 비교적 경미하여 계속 전투를 할 수 있는 경우와 할 수 없는 경우로 분리하여 생각이 되어 있으면 OK, 그렇지 않으면 이 문제를 attack합니다. 계속 전투를 할 수 있는 경우 till the fight is over를 포함하여 생각하면 부상당한 군인도 당연히 전투를 하게 됩니다. 후자의 경우 후송되거나 방치됩니다. 이렇게 하는 것은 작문실력과 추론 실력을 길러주고 언어영역 실력을 길러주기 위한 것입니다.
그 다음, 다음 문장을 보여주고 해석을 시킵니다.
In a battle, the wounded soldier may, till the fight is over, hardly realize his suffering; even then he may forget it in the. . .
여기서 서로 연관된 단어를 연결하라고 합니다. 즉 a battle → (wounded) soldier → fight, wounded → (his) suffering → it
이렇게 하는 것은 영어 작문의 핵심인 글의 Unity and Cohesion을 느끼게 만들기 위한 것입니다.
여기까지 해석이 되면 이 내용에서 추론할 수 있는 것을 말해보라고 합니다. 이러면 the wounded soldier → hardly realize his suffering에서 부상정도가 아주 심하지 않다. . . 이렇게 나오도록 유도를 합니다. 전쟁터에서 사지가 날아간 경우 고통을 모른다면 말이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may를 사용한 이유를 물어봅니다. 이전에 영어에서는 단정을 싫어한다는 것과 may에 대한 설명을 간략하게 했습니다. 모든 부상당한 군인(100%)이 고통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 아니니 단정을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may를 사용한 것입니다.
전쟁이 끝날 때까지 고통을 거의 느끼지 못한다는 데 그 이유는? 그리고 심지어. . .에서 고통을 잊는다는데 무엇에서? 전쟁이 종결된다면 승리, 패배. . . 여기까지 진행되고 난 다음 그 다음 문장을 보여줍니다.
In a battle, the wounded soldier may, till the fight is over, hardly realize his suffering; even then he may forget it in the triumph of the victory or in the shame of the defeat.
그리고 해석을 하라고 합니다. 이런 경우 지문에서 victory만 알면 triumph, shame, defeat의 의미를 충분히 guess할 수 있습니다. 해석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옆에서 “비교, 대조”라고 한 마디만 합니다. 그리고 해석이 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guess가 근접했다고 보면 전체 내용을 일러주고 전체 내용을 10번 써 보라고 합니다.
써 보라는 것은 영어에 익숙해지라는 의미입니다. 장담을 하는 것은 이런 방법으로 1년 정도 공부하면 원만한 둔재가 아니라면 영어와 언어영역에서 점수가 급등합니다. 그 뿐이 아니라 수리탐구에서도 점수 향상이 상당합니다.

Wednesday, November, 13, 2002, cold.
(Q)no more than, not more than, no less than, not less than의 차이점?
<ANSWER>
중·고등학교 학생 수준에서는 no more than ― not more than, no less than ― not less than의 차이를 단순하게 생각해도 됩니다. 일단 no more than은 more의 관점에서 no less than은 less의 관점에서 동등(only, as many/much as)을 의미하고 not more than, not less than은 동등 + 또 다른 가능성(더 적거나 더 많을 수 있는)이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no more than ― not more than
no less than ― not less than
이 차이를 다루기 전에 먼저 no와 not의 차이점을 인식해야 합니다. 고대와 중세 영어에서 no와 not의 쓰임새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았으나 현대 영어에서는 그 부분이 점점 명확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부에서는 통합되고 있습니다.
no는 기본적으로 ①명사를 수식하고 일종의 관사이고 ②형용사, 부사를 수식하는 부사입니다. 여기에 반하여 not은 동사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오늘날 영어에서는 not more than은 주로 not any more than형태로 사용됩니다. not은 동사와 사용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not any more앞에는 동사가 있어야 합니다.
1.1 : He is no more able to speak Chinese than I am.
1.2 : He is not able to speak Chinese any more than I am.
1.3 : He said no more than we had expected after all.
1.1에서는 no는 부사 more가 있기 때문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1.2에서 not 앞에는 be동사가 있습니다. 1.3에서 not any more than을 사용할 수 있으나 not any more than을 사용하면 문장이 쓸데없이 길어지고 복잡해집니다. 심지어 not과 said를 축약해도 다음과 같이 됩니다. He didn't say any more than we had expected after all.
2.1 : He said no more than we had expected after all.
2.2 : He didn't say any more than we had expected after all.
2.3 : He did not say any more than we had expected after all.
영어의 원리 중에 하나가 경제원칙(the principle of economy)입니다. 즉 가급적 적은 단어를 사용하여 가급적 많은 의미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영어에서 아주 중요하게 여기는 원칙 “Concise and To the point”에서 Concise를 의미합니다. no more than을 사용하면 되는데 번거롭게 not any more than을 사용할 이유가 없습니다.
no more than의 쓰임새는 more다음에 무엇이 오는지에 따라 판가름됩니다.
no more + 명사
no more + 형용사
(1) no more + 명사 : 앞부분에 no는 명사와 형용사/부사를 수식한다고 언급했습니다. no는 more를 수식하는 입장입니다. 즉 more만 아니라는 의미입니다.
3.1 : Paul has no more friends than I have. (= only as many as)
3.2 : I have no more money than you have. (= only as much as)
(2) no more + 형용사
4.1 : Rachel is no more courageous than Saul (is).
4.2 : Rachel is not more courageous than Saul (is).
4.1에서 no는 more만 수식합니다. 즉 Rachel과 Saul의 용감성 정도는 동일하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조심할 것은 두 사람의 용감성이 어느 정도인지는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즉 Saul이 그렇게 용감하지 않다면 Rachel도 그렇게 용감하지 않다는 의미도 함축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4.2에서 not은 more를 수식하는 것이 아니라 동사 is를 수식합니다. 이 경우는 more courageous하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이 경우는 둘 다 용감하지만 Saul이 더 용감하다는 의미도 될 수 있고 Saul은 용감하지만 Rachel은 그렇지 않다는 의미도 될 수 있습니다.
이런 미묘한 Connotation 때문에 영어가 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상당수준에서 다루어야 할 부분이고 중·고등학교 학생들에게는 3.1, 32 문장만 까지만 파악해도 됩니다.
no less than, not less than은 no more than, not more than과 대칭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no more than이 more의 관점에서 “only as many/much as”를 의미하고 no less than은 less의 관점에서 “only as many/much as”를 의미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He paid no less than ten dollars. (그는 십 달러나 지불했다)
He paid not less than ten dollars. (그는 십 달러만 지불했을 수 있고 혹은 그 이상을 지불했을 수 있다)

Thursday, November (the) 14th, 2002, cold.
<Q>선생님은 영어를 잘 하셔서 이런 느낌 모르실 지도 모르겠군요.. 공부는 했는데 뭔가 막연하고 모른다는 느낌... 제가 생각하기에 이건 문법을 완벽히 모르기 때문이 아닌가 늘 생각해 왔는데요... 고전을 독파하고 구문을 정리하는 것만으로 이런 막연함을 채울 수 있는지요?
<ANSWER>
영문법에 대한 그릇된 개념이 형성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언어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시대와 환경이 변하면 그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변하게 됩니다. 지금도 영문법은 변하고 또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문법에서는 완성된 형태가 있을 수 없습니다. 언제까지나 완성되어 가는 단계 일뿐입니다. 따라서 영문법을 완벽하게 아는 사람은 이 세상에 존재할 수 없습니다.
답변을 도와주는 분이 있습니다. 5명의 미국인 교수(영문학 3명, 언어학 2명)입니다. 그 중에 한 분은 미국대학에서 영어를 전공하는 미국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문법을 가르치는 분으로 미국의 저명한 언어학회 학회지 부 편집장을 맡고 있습니다. 이 분에게 조언을 구하는 경우가 많은데 적지 않은 경우에 이 분도 모르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research를 해 보아야 되겠다는 말을 합니다. 경우에 따라 어떤 내용을 5분에게 문의해 보면 모두 답이 다른 경우도 있습니다. 이게 문법입니다.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학생들은 문법의 테두리를 배우고 그 다음 세세한 부분을 공부해야 합니다. 사이트에서 문법강좌 부분에서 비교급과 명사에 관한 부분을 읽어보면 이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대략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언제나 허전하고 두렵다는 느낌이 어디에서 발생되었는지 조금은 인식할 수 있습니다. 영문법을 잘 안다고 자신하는 사람들도 단순하다고 여기는 비교급을 거의 모르고 있습니다. 사이트에 있는 그 내용을 읽어보면 영어공부를 다르게 해야 한다는 느낌을 받을 것입니다.
문법은 계속 변하고 만들어지지만 그 저변에 어떤 큰 흐름(원리)이 있습니다. 그 흐름을 파악하면 나머지 부분은 조금만 응용하면 충분히 짐작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그 흐름을 파악하지 못하고 세세한 부분에 집중하기 때문입니다. 세세한 부분에 얽매이면 조금만 달라져도 파악을 하지 못합니다. 성문종합이라는 책의 내용도 세세한 부분에 얽매여 있습니다. 이러다 보니 많은 오류가 발생됩니다.
영어공부 방향은 작문의 관점과 논리의 관점에서 해야 합니다. 작문의 관점에서 글의 Unity and Cohesion을 염두에 두고 Concise and To the point를 생각해야 합니다. 그 다음 논리를 파악해야 합니다. 문법을 공부하더라도 작문과 논리의 관점 안에서 해야 합니다. 그렇게 해야 문법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질문자에게 느낄 수 있는 것은 English Treasure와 Untouchable 수능영어라는 책으로 공부하지 않았습니다. 이 책들로 공부했다면 최소한 영어에 대한 안목이 생깁니다. 이 책들로 영어공부를 한 번은 해야 합니다. 조립을 하기 위해서는 분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영어소설을 보라는 것은 영어에 익숙해지라는 의미입니다. 문법을 공부하더라도 영어에 익숙해진 상태에서 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 하는 것은 다릅니다. 그리고 문법을 따로 떠내어 공부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예문이 많은 영영사전을 최소한 3권 이상, Michael Swan의 Practical English Usage를 구비해 놓고 영어소설에서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사전을 찾아가면서 하나씩 해결해 가면 됩니다.

Friday, the 15th of November, 2002, cold.
<Q>
(1) Digging began on a harbor that would make Los Angeles not only an ocean port but also a fishing center.
여기서 Digging began on a harbor의 해석을.. 그냥 “굴착은 항구에서 시작되었다”로 하면 되는지.
(2) It produces goods not only for other west coast communities but also for those in other parts of the country.
여기서 those of other..로 표현하면 안되나요?
(3) an attempt to become involved in a different activity.
여기서 involved는 복잡한 의 뜻인가요?
(4) Martha graham's debut dance concert in her new idiom occurred...
여기서 in을 어떻게 해석.. 해석보다, 위에 것 아래 것 둘 다, of와 in의 차이를...
(5) the announcement will really have no impact on the strike, on the protections of employees, on any of the conditions, really.
여기서 really를 앞에 한번 뒤에 한번 합쳐서 두 번을 쓴 이유는 강조인가요?
(6) so much so that (매우 그렇기 때문에 ∼하다)
이 표현이 쓰인 문장들을 보고 싶습니다. 어떻게 쓰이는지 알고 싶어서요.
(7) Mozambique needs and deserves all the help it can get.
여기서 all이하는 need와 deserve 둘 다의 목적어인가요?
(8) a polygraph of relatives is a standard part of missing child investigations.
여기서 of missing가 아니라 수동이 되어야지 않나요
(9) most of 과 most in 의 차이도..
내신 같은 건 필요 없고 토익점수 하나만으로 갈 수 있는 대학도 있습니까?
<ANSWER>
(1) Digging began on a harbor that would make Los Angeles not only an ocean port but also a fishing center.
harbor와 port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harbor는 중세영어 때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어휘로 머무는 것(stay)을 의미합니다. 특히 배가 폭풍을 피하여 머물 수 있거나 아니면 다른 목적으로 정박할 수 있는 곳을 의미합니다. 옛날에는 거의 모든 항구가 harbor라고 지칭할 수 있습니다. 우리말로 표현하면 선착장이 적절합니다. 그러나 배가 운송해야 할 수송 양이 많아지자 전문적으로 물건을 싣고 내리는 시설이 필요합니다. 이런 시설을 갖춘 곳을 port(항구)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Los Angeles는 조그만 harbor에 불과했으나 나중에 대형 port로 발전합니다. 지문에서 that이하는 digging을 수식합니다. 주어 부분이 길기 때문에 End Weight를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Digging (that would make Los Angeles not only an ocean port but also a fishing center) began on a harbor. - Los Angeles를 대양을 오가는 배가 기착할 수 있는 항구와 어업 기지로 만드는 항만 확장 공사가 시작되었다.
(2) It produces goods not only for other west coast communities but also for those in other parts of the country.
those of other parts of the country 이렇게 표현하면 우선 몇 단어 되지 않는 표현에서 of가 반복됩니다. 그 다음 community는 주로 “community + in + 지역”혹은"community + of + 구성요소”형태로 사용됩니다.
the Polish community in London.
a community of monks
(3) an attempt to become involved in a different activity.
involve의 어원은 in(to) + volvere(turn, roll)입니다. 간단하게 표현하면 안으로 말려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비유적으로 “관련된”의미로 사용되고 여러 가지가 말려들면 복잡해집니다. 여기서 파생된 의미가 “복잡한”입니다.
여기서는 여러 가지 활동에 참여하려고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관련된”으로 번역해야 합니다.
(4) Martha Graham's debut dance concert in her new idiom occurred...
(무용가 Martha Graham의 데뷔 공연이 그녀만의 새로운 형식으로 진행됩니다)
idiom은 숙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여기서 idiom은 “독특한 방식”을 의미합니다.
idiom : a particular style in language, art, or music: Osborne always works within a modern idiom. (출전 : Macmillan English Dictionary For Advanced Learners of American English)
they were both working in a n대-impressionist idiom.
(출전 : The New Oxford Dictionary of English)
(5) the announcement will really have no impact on the strike, on the protections of employees, on any of the conditions, really.
구어체 말을 그대로 옮긴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일종의 강조입니다.
(6) so much so that (매우 그렇기 때문에 ∼하다)
80년대 초반에 지금은 부도가 나 망한 종로서적에서 세계 명작과 Agatha Christie의 소설을 저렴하게(2,000원) 발간한 적이 있습니다. 그 당시 발간한 Agatha Christie의 소설 시리즈를 모두 구입했는데 이중에 The Mysterious Affair at Styles가 있습니다.
이 소설 내용은 아들을 둘 둔 백만 장자가 재혼을 하고 난 뒤 몇 년 뒤에 사망합니다. 재혼한 부인이 모든 재산을 상속받게되고 두 아들은 유산을 받지 못합니다. 나이가 70이 넘은 미망인은 다시 젊은 남자와 재혼 한 뒤 얼마 뒤에 살해당합니다. 범인으로 지목된 사람은 전 남편의 아들입니다. 그러나 반전이 되고...
이 소설 p 2에 so much so that 구문이 나옵니다.
Their country-place, Styles Court, had been purchased by Mr. Cavendish early in their married life. He had been completely under his wife's ascendancy, so much so that, on dying, he left the place to her for her lifetime, as well as the larger part of his income; an arrangement that was distinctly unfair to his two sons.
(7) Mozambique needs and deserves all the help it can get.
맞습니다. all the help (which ∼)는 need와 deserve의 목적입니다.
(8) a polygraph of relatives is a standard part of missing child investigations.
논리적인 추론이 가능해야 합니다. missing과 missed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missing은 진행중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실종되었던 아이가 발견될 수도 있기 때문에 missed라고 표현할 수 없습니다. missed는 찾을 수 없는 경우입니다. 실재 missed를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9) most of 과 most in 의 차이도..
most of의 경우에는 most가 명사로 사용됩니다.
Most of the people [(whom) I had invited] turned up.
(내가 초대한 사람의 대부분이 참석했다)
There are thousands of verbs in English and most (of them) are regular. (영어에는 수 천 개의 동사가 있고 그 중 대부분은 규칙동사이다)
(출전 :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most in의 경우는 그 수가 극히 제한되고 most of와 비교할 수 있는 표현이 아닙니다. 우선 in을 전치사로 보면 in 다음에는 전치사의 목적인 명사가 있어야 합니다. 즉 “most + in 명사”의 형태입니다. 이런 경우 most는 “in X”를 수식하는 부사이거나 아니면 앞부분을 수식하는 부사가 됩니다.
Who is most in need of it?
(이것을 가장 필요로 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 most가 in need of it을 수식
I asked him what impressed him most in visiting Rome.
(나는 그에게 로마를 방문했을 때 가장 인상적인 것이 무엇인지 물었다) -
most는 동사 impress를 수식
in이 부사로 사용된 것이라면 most는 부사 in을 수식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앞부분을 수식하는 기능입니다. 이런 경우는 없다고 단정해도 좋습니다. 영어권 최대의 사전인 Oxford English Dictionary(OED)에서 in의 부사 용법을 찾아 in앞에 most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지 검토해 보았으나 모두 불가능합니다. in의 부사용법과 부사 most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경우는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10) 내신과 수능 점수를 무시하고 TOEIC 점수 하나만으로 대학을 갈 수는 없습니다. 하나만 잘하면 대학을 갈 수 있게 만들겠다는 돌팔이 무당 이해찬씨가 한 말은 무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수 차례 거론했지만 영어는 목적이 아니고 도구가 되어야 합니다. 영어만 잘하고 다른 과목을 못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그런 경우가 있다고 해도 영어 학습이 어느 정도 진행이 되고 난 다음에는 더 이상 발전이 되지 않습니다.

Saturday, November, 16, 2002, cold.
<Q>저는 요즈음 공무원이 되려고 하는 사람들을 상대로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교재를 보면 한번씩 제가 알고 있는 내용과 다른 것들이 눈에 뜨입니다. 이번에도 그런 게 있어 선생님의 조언을 구하는 바입니다. *( )에 적합한 것 고르는 문제입니다.
There comes a time in every man's life ( ).
(1) which he needs
(2) when he has to think
답은 2번이라고 나와 있는데, 제 생각엔 1번도 가능하다는 생각입니다. 1번의 해석은, “모든 사람의 인생에는 그가 필요로 하는 한 시기가 있다”로 해석이 가능하고, 그럴 때에는 which가 time이란 명사를 선행사로 하여 전치사 없이도 사용 가능한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그리고 2번도 맞다고 생각합니다. 그때는 어떤 시기에 대해 생각해야 한다는 내용이라고 판단됩니다. 현명한 가르침을 부탁드리며, 늘 행복의 길 위에 계시기를 바랍니다.
<ANSWER>
문제 답으로 (1)를 선정하는 것을 반대합니다. Word Grammar측면에서 need를 검토합니다. need는 조동사와 동사 두 가지 역할이 있지만 여기서는 동사만 거론합니다. need가 동사로 사용되면 기본 문형은 3 가지입니다.
S + need + O (+ C) = : Plants need sunlight and water to grow.
S + need + doing : This chapter needs rewriting(= needs to be rewritten).
S + need + to do : You don't need to return the book until tomorrow.
(1)의 경우는 당장 need WHAT?이라는 의문이 발생됩니다. need의 목적을 a time으로 보는 것은 논리적으로 타당하지 않습니다. 우리 말 표현도 동일합니다. 이혼한 부부의 경우는 자녀 양육이 문제가 됩니다. 가령 편모 슬하에서 자라는 사내아이에게 아버지가 필요한 시기가 있습니다.
그 다음 usage측면에서는 “there comes a time (·····) when ·····”은 고정화된 표현입니다. 이런 경우 when대신 which를 사용하는 용례는 발견할 수 없습니다. 만약 which를 사용하면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time 다음에 다른 내용이 오는 경우, time과 which와의 연결 관계를 잘 파악하기 힘듭니다.
There comes a time in the evolution of every small business when good old-fashioned hard work is no longer enough.
이런 경우 when 대신 which가 들어가면 자칫 잘못하면 every small business which ·····이렇게 오인할 수 있습니다.
There comes a time when nothing more can be done.
(출전 : Collins Cobuild English Dictionary)
There comes a time in your life when you should have a good long look at yourself; the way things have worked out; your place in the scheme of things
There comes a time in one's live when you must take a stand for the principles you believe in.
there comes a time in the life of every man who can use his brain at all when he realizes that he is not the one thing of importance in the universe, the one end to be served. (출전 : Sinclair Lewis)

Sunday, November, (the) 17th, 2002, cold.
<Q>안녕하신지요?
이제 제법 서늘한 기운이 조석으로 밀려듭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나날 보내고 계시는지요? 이 가을 더욱 풍성한 님의 계절이 되기를 바라며 부족한 것 좀 채워주시겠습니까?
이 글의 어조는?
2. Killing animals for their fur is wrong. Consider the cute mink, the cuddly raccoon, the lovable harp seal. These animals haven't hurt us, so why should we savagely murder these adorable creatures? Think of a puppy. Picture its soulful, trusting eyes. Would you want to wear Spot's hide on your back? The answer, from any thoughtful individual, must be a resounding “No!”
① furious
② ironic
③ neutral
④ friendly
어떤 책에는 답이 1번이고, 다른 책에는 답이 2번으로 나와 있습니다. 제 생각엔, 분노, 격노의 감정으로 생각되는데 선생님의 생각은 어떠신지요?

그리고 부가의문문 문제 좀 가르쳐 주십시요?
2. 내용 채우기 문제로 다른 책에는 답이 아래와 같습니다.
You seem to be dissatisfied with your present post, I don't think you judged your ability when you applied for it, ( )?
3.I don't think Mary will sing the song,( )?
그럼, 건강하시고 언제 진주에 한번 들리시면 꼭 한번 연락 주시기를 바라며 부끄러운 얼굴을 돌립니다.
<ANSWER>
이 글의 어조는?
2. Killing animals for their fur is wrong. Consider the cute mink, the cuddly raccoon, the lovable harp seal. These animals haven't hurt us, so why should we savagely murder these adorable creatures? Think of a puppy. Picture its soulful, trusting eyes. Would you want to wear Spot's hide on your back? The answer, from any thoughtful individual, must be a resounding “No!”
① furious
② ironic
③ neutral
④ friendly
글의 어조는 글의 분위기나 필자의 감정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사람을 대하고 이야기할 때 이야기하는 사람의 감정, 느낌을 그의 얼굴표정, 몸동작, 목소리의 고저와 음색...등에서 짐작 할 수 있습니다. tone이 의미하는 것은 목소리의 고저와 음색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비유적으로 글의 분위기나 필자의 감정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글에서 tone은 그 글에 언급된 Topic을 중심으로 3가지로 나타냅니다. (1) 어휘선정, (2) formality의 정도, (3) 글을 쓰는 style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tone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글에 언급된 Topic이 무엇인지, 그 다음 어떤 어휘(주로 형용사 부사에 많이 나타남)를 사용했는가를 파악해야 합니다.
ⓐKilling animals for their fur is wrong. ⓑConsider the cute mink, the cuddly raccoon, the lovable harp seal. ⓒThese animals haven't hurt us, so why should we savagely murder these adorable creatures? ⓓThink of a puppy. ⓔPicture its soulful, trusting eyes. ⓕWould you want to wear Spot's hide on your back? ⓖThe answer, from any thoughtful individual, must be a resounding “No!”
주어진 글에서 Topic Sentence는 지문의 첫 번째 문장입니다. 털가죽을 얻기 위해 동물을 죽이는 것을 필자는 wrong으로 표현했습니다. 그 근거로 필자가 제시한 것은 the cute mink, the cuddly raccoon, the lovable harp seal...등의 동물들이 사람을 헤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사람을 헤치지 않는 것이 필요충분조건이 되는지?).
냉정하게 논리적으로 평가하면 이것만으로는 Topic Sentence를 뒷받침하기에는 부족합니다. 그 다음에 증거(supporting sentence)로 제시된 것이 강아지(ⓓ + ⓔ)입니다. ⓓ + ⓔ는 객관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증거가 아니라 감정에 호소하고 있습니다. formal 논리로 보면 감정에 호소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에 Topic Sentence를 한 번 더 언급한 것이 ⓖ입니다.
여기서 파악할 수 있는 것은 필자가 털가죽을 얻기 위해 동물을 죽이는 것을 반대하기 위해 쓴 글입니다. 이것만으로도 ②, ③, ④는 답에서 제외됩니다.
그 다음 글에 사용된 감정과 관련된 표현을 검토합니다. “wrong”이란 표현은 상당히 과격한 표현입니다. 이 글의 필자가 완곡어법(euphemism)이 잘 발달된 영어에서 이런 표현(wrong)을 사용한 것은 상당히 화가 나 있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표현은 글의 중간부분에서 so why should we savagely murder these adorable creatures?라고 한 것과 글의 마지막 부분에 사용된 『The answer, from any thoughtful individual, must be a resounding “No!”』표현과 일관됩니다.
중간부분에서 adorable라는 형용사를 사용한 것에서 동물에 대한 필자의 감정을 알 수 있고, 그 다음 savagely murder에서 동물을 죽이는 것을 비난하고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표현이 재미있습니다. 마치 털가죽을 얻기 위해 동물을 죽이는 것을 반대하지 않는 사람은 thoughtful한 사람이 아니라는 식으로 글이 전개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글 필자의 감정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한 마디로 격앙된 느낌입니다.
이것 외에도 사용된 어휘를 보면 soulful, trusting eyes....에서 adorable과 함께 동물에 대한 애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자신이 좋아하는 동물을 단지 털가죽을 얻기 위해 죽이는 것에 대한 느낌은 분노입니다.

부가의문문을 고등학교 이상의 수준에서 시험문제로 출제하는 분은 영어공부를 다시 해야합니다. 이 분들은 부가 의문문에 관해서 모르고 있습니다. 부가 의문문은 그 표현을 사용하는 사람의 목소리(음색, 고저, 장단), 얼굴표정, body language를 보고 판단해야 합니다.
그리고 부가의문문에는 두 종류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부가의문문과 Michael Swan이 Reinforcement Tag라고 호칭한 부가의문문이 있습니다. 후자는 긍정에 긍정, 부정에 부정입니다. 이것을 알면 중학생 수준에서는 부가의문문을 시험 문제로 출제할 수 있지만 그 이상에서는 출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출제자는 알고 있어야 합니다.
Reinforcement Tag의 예
놀람이나 관심이 생길 때
A : I'm going to Moscow(여기에 강세) next month.
B : Oh, are(여기에 강세) you?
반항하거나 빈정거릴 때
A : You must pay me the money at once(once에 강세).
B : Oh, I must(must에 약강세), must(must에 앞보다 더 강한 강세) I?
일단 여기서는 Reinforcement Tag를 거론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알려진 긍정에 부정, 부정에 긍정의 부가의문문만 거론합니다.
이 측면에서 보면 질문에서 문제가 된 것은 “think + that절”이 있는 경우 부가의문문에서 어떤 동사를 기준으로 해야 할지 여부입니다.
이런 경우 think를 기준으로 해야 합니다.
I think this is one of the best things, don't you?
(출전 : Collins Cobuild English Usage, p 37)
I don't think you'd wear your wig, do you?
(출전 : Agatha Christie ; Elephants)
Besides, you don't think he believed your story even for a minute, do you?
(출전 : Harold Robbins ; The Betsy)
하지만, 질문한 2문제 같은 경우에는, 부가 의문문을 어디에 촛점을 맞추어야 하는가는 상대적이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차피 이런 게 우리나라에서 문제화되어 나오는 경우에는 보기에서 답을 선택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다음의 두 문제에서는,
2.You seem to be dissatisfied with your present post, I don't think you judged your ability objectively when you applied for it, ( ) you?
네가 지원할 당시에 너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판단하지 못했다고 생각해.의 부가의문으로는, "그렇죠?"라는 의미로서, (did you?)가 맞는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3. I don't think Mary will sing the song,( )?
이 문제에서는 대화의 상대방에게 동의를 구할 때는, (do you?)로 하든지
아니면, '메리가 노래를 부르지 않을 거라고 생각해, 그렇겠지?'라고 얘기할 때는, (will she?)가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위에서 말한 것처럼, 부가의문문은 대화상에서의 상대적 개념을 뛸 수 있으므로, 문제화되는 것은 옳지 않으나, 한국식 영어문제에 나오면, 보기에서 가장 적절한 답을 도출하는 식으로 말 그대로 정확한 언어의 습득이 아니라 시험이니까 답을 하나는 골라내야 한다는 의미로 해결하시기를 바랍니다.

Monday, the 18th of November, 2002, cold. <Q>선생님의 확실한 가르침을 듣고 싶습니다.
They cannot control the instinctive feeling that sexual action is disgusting.에서 맨 마지막 단어인 disgusting과 같은 의미를 가진 단어를 고르는 문제입니다. 보기에 repulsive, disregarding, distasteful, offensive가 있는데, 저는 repulsive, distasteful, offensive, 셋 다 답으로서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선생님의 가르침을 듣고 싶습니다.
<ANSWER>
너무나 많은 것을 생각해야 하는 문제입니다. 우선 형용사의 독자적인 기능과 문장에서 사용된 형용사의 기능을 검토해 보아야 합니다.
형용사의 쓰임새는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1) 여기에는 동일한 것을 보고 느끼는 감정이 사람마다 모두 다를 수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 (2) 형용사는 지역과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화합니다. silly는 고대영어에서 행복한(happy, fortunate) 의미로 사용되었다가 천진난만한(innocent) 의미로 잠시 사용되다가 오늘날 영어에는 어리석은(stupid) 의미로 고착됩니다. 게다가 오늘날 영어에서 어휘의 쓰임새가 점차 강해지고, 거칠어지기 때문에 부드럽고 온순한 형용사는 점점 밀려나는 듯한 느낌도 있습니다. 명확하게 규정할 수 없지만 offensive의 경우 과거에는 상당히 강한 형용사에 속했으나 오늘날에는 중간정도의 강도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3) 개인에 따라 형용사의 쓰임새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형용사는 기본적인 의미가 있고 그 기본적인 의미를 바탕으로 확장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확장된 영역은 정확하게 규정하기 어렵습니다.
They cannot control the instinctive feeling that sexual action is disgusting.
제시된 문장을 보자마자 생각했던 것은, 성을 부정적으로 보는 것을 과연 instinctive feeling 으로 묘사할 수 있을 지 의심을 했습니다.
instinctive : based on instinct, not thought or training.
(출전 : 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성을 부정적으로 본다면 이것은 본능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생성된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이렇게 보면 제시한 문장에서 사용된 instinctive는 그 기본적인 의미 영역을 벗어난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이것을 고려해 보아야 합니다. instinctive의 의미를 좀 더 확장하여 관습 혹은 습관으로 형성된 것에도 사용하는 경우를 포함시킵니다.
그 다음 어떤 것을 보고 역겨움을 느껴 구역질을 느끼거나 한 발 뒤로 물러서는 경우는 instinctive 영역으로 보아야 합니다. 이 측면에서 보면 disgusting, repulsive가 instinctive와 자연스럽게 사용될 수 있는 형용사입니다.
그 다음 고려해야 할 것은 《feeling that X is feeling을 나타내는 형용사》이런 형태가 가능한지 검토해야 합니다. 이런 형태는 무엇이 X가 될 수 있는지에 따라 많은 형태가 나올 수 있습니다. 그래서 X의 범위를 축소하여 X를 주어와 연관된 행위(behavior)로 한정을 합니다.
이런 경우 feeling을 어떻게 정의해야 할 지 난제입니다. feeling은 보고, 듣고, 맛을 보고, 촉감으로 느끼는 것을 의미해야 할지 아니면 좀 더 나아가서 생각으로 혹은 관념이나 상상력으로 생성되는 경우에도 포함해야 할지 검토해 보아야 합니다.
They cannot control the instinctive feeling that sexual action is disgusting.
여기에서 disgusting과 바꾸어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먼저 disregarding, offensive를 선택합니다. 남은 것은 repulsive, distasteful이 남아 있습니다. 여기에서 cannot control the instinctive feeling을 고려하면 repulsive가 답으로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offensive는 offence를 바탕으로 형성된 형용사입니다. offence는 타인이 무례하거나 예의를 지키지 않을 때 짜증/화가 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직도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한 마을에서 젊은이가 담배를 피우다가도 동네 어른들이 오면 얼른 담배를 꺼버립니다. 이런 마을에서 한 젊은이가 동네 어른이 오는데도 담배를 꼬나 물고 있으면, 담배를 피우는 것이 offensive 한 것이 아니라 그런 행위가 offensive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offence : upset and hurt feelings or feelings of annoyance, often because someone has been rude or shown a lack of respect. (출전 : Cambridge International Dictionary of English)
그래서 offensive는 주로 one's behavior, gesture, language, remark, joke... 등의 명사화 함께 사용되고 idea, feeling....등의 명사와 함께 사용되는 예는 거의 찾아볼 수 없습니다. 이 측면에서 offensive는 반대합니다.
distasteful은 bad, unpleasant보다 더 강하고 구체적인 느낌을 전달해 줍니다. 특히 distasteful은 “취향이나 성향에 맞지 않아 거부할 때”주로 사용됩니다.

Tuesday, November, 19, 2002, cold.
<Q>제 노력이 부족해서인지 영어는 하면 할수록 어렵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저같은 사람이 영어를 가르치고 있으니, 이거 괜찮은 건지...
어쨌든 달리고 있고, 계속 열심히 할 생각이라는 신념만으로 자위를 해 봅니다. 지도 좀 해 주시겠습니까? 그리고 앞으로도 의문나는 점이 있으면 스스럼없이 찾아뵈도 되는지, 그럴 수 있다면 제겐 너무나 큰 힘이 될 것 같습니다.
<질문 1> The purpose of the instruction is making it easy for newcomers to find their way around the city.에서 일반적 목적이 아니라 안내문의 구체적 목적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동명사가 아니라, to make로 해야 맞다고 되어 있는데, 제 생각엔 making도 가능할 것 같아 질문 드립니다.
<질문 2>다음 중에서 어느 문장이 맞는 문장인지요?
*Tell him the best way how to express my thanks.(X)
*Tell him the best way in which to express my thanks.(O)
*Tell him the best way which to express my thanks.(X)
*Tell him the best way to express my thanks.(O)
<질문 3>
*The book was so hard that I couldn't read it.
= The book was too hard for me to read.
*She was so obstinate that I couldn't persuade her. = She was too obstinate for me to persuade her.
위 두 예문들을 단문으로 고치는 상황에서, 첫 예문은 마지막에 it을 쓰면 단문상에서 같은 뜻의 단어가 중복이 되고, 사물이므로 사용할 수 없고, 두번째 예문에서는 의미상의 주어를 나타낼 때, 'of 목적격'이 아니라 'for 목적격' (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는 형용사가 앞에 있지만, I의 성격이 아니기 때문에) 을 써야 하고, 단문에서도 위 문장과는 달리 같은 존재를 나타내지만 그 존재가 사람(she 와 her)이기 때문에 생략할 수도 있지만 나타내는 것이 좋다라고 알고 있는데, 혹 제가 잘못 알고 있다면 큰 가르침 좀 주시겠습니까?
그럼, 건강하시고, 늘 행복의 길 위에 서 계시길 바랍니다.
작은 마음 하나 놓고 갑니다.

독 도(獨 島)

그게 어디 한 점 섬이더냐
온통 그리움 투성이다
너무 크고 진해서
발 디딜 곳 없는 우리 고향이여라

행여 상채기라도 날까
꿈결에서도 새까맣게 애태우는
너, 나, 우리의 조상님 애기더라

도둑놈이 역사를 훔치던 그 날부터
우린 덩치로만 살 것을 강요당했다
하여도,
결코 지울 수도, 잊어버릴 수도 없는
우리 터,
아메리카의 약 40배되는 섬

아, 이제
그 섬을 처절한 황혼이라 불러라
처절한 만큼 붉게 타오르게... 2001, 10, 27.


I am here for you.
written by Manhae Han Yong-hun
I love you with all my heart,
Not that you love my only rosy face like other people,
But that you love even my gray hair.

I miss you with all my spirit,
Not that you love my only smile,
But that you love even my tears.

I wait for you forever,
Not because you love my life alone,
But because you even love my death.

translated by ENARO

사랑하는 까닭
- 만해 한용운 님 -
내가 당신을 사랑하는 것은 까닭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홍안만을 사랑하지만,
당신은 나의 백발도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내가 당신을 그리워하는 것은 까닭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미소만을 사랑하지만,
당신은 나의 눈물도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내가 당신을 기다리는 것은 까닭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건강만을 사랑하지만,
당신은 나의 주검도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ANSWER>그런 고민은 영어와 관련된 분은 모두 하게 됩니다. 그 고민이 절대 혼자만의 고민이 아닙니다. 그리고 사이트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만족합니다. 그리고 저도 할 수 있는 데까지는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질문 1> The purpose of the instruction is making it easy for newcomers to find their way around the city.에서 일반적 목적이 아니라 안내문의 구체적 목적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동명사가 아니라, to make로 해야 맞다고 되어 있는데, 제 생각엔 making도 가능할 것 같아 질문 드립니다.
이 부분은 to mak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usage 측면에서 목적이나 계획을 나타내는 명사 purpose, plan, objective, function... 뒤에는 to do를 사용하는 것이 한 유형(pattern)으로 굳어져 있습니다.
His purpose was to make a profit by improving the company's performance.
(출전 : Collins Cobuild English Dictionary for Advanced Learners)
His purpose in life was to get rich.
(출전 : Randon House Webster's Dictionary of American English)
The sole purpose of conducting a business is to make money.
(출전 :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
<질문 2>다음 중에서 어느 문장이 맞는 문장인지요?
*Tell him the best way how to express my thanks.(X)
*Tell him the best way in which to express my thanks.(O)
*Tell him the best way which to express my thanks.(X)
*Tell him the best way to express my thanks.(O)
◎ Tell him the best way how to express my thanks : 오늘날 영어에서 way how to do 형태는 상당히 드물게 사용됩니다. 사용되는 경우에도 how를 사용할 만한 근거가 있어야 합니다. 제시된 지문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how to express가 아니라고 보아야 합니다. 지문에는 the best way라고 했습니다. 즉 여러 방법 중에서 어떤 것이 낫는지를 파악하는 것입니다.
(cf) I don't know really how to drive a car.
◎ Tell him the best way in which to express my thanks : way in which라는 표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in the way라는 표현이 사용될 수 있는 근거가 있어야 합니다.
I believed, from the solitary and thoughtful way in which my mother murmured her song, that she was alone.
여기서는 my mother murmured her song in the solitary and thoughtful way 이렇게 표현됩니다. 그러나 제시된 문장에서는 the way는 tell의 목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 Tell him the best way which to express my thanks : which to do라는 표현이 사용되기 위해서는 which가 사용될 근거가 있어야 합니다.
Shelly, holding her cards very tight in both hands, considered which to play.
여기서 play의 목적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which입니다. 제시한 문장에는 which가 그 어떤 역할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결국 정상적인 문장은 Tell him the best way to express my thanks입니다.
<질문 3>
*The book was so hard that I couldn't read it.
= The book was too hard for me to read.
*She was so obstinate that I couldn't persuade her. = She was too obstinate for me to persuade her.
이 부분은 이의를 제기하고 싶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과연 이런 문장전환이 학생들의 영어학습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될지 의문입니다. 문장전환은 (1) 다양한 표현을 위하여, (2) 어려운 구문을 쉽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too ∼ to do 구문에 대한 자료가 조금 수집되어 있는데 too ∼ to do 구문을 so ··· that ∼can not 구문으로 고치는 예를 제시한 영미문법서적은 거의 없습니다. too ∼ to do을 so ··· that ∼can not으로 제시한 경우는 겨우 몇 군데입니다.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too ∼ to do을 so ··· that ∼can not으로 고치는 것은 일본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가, 최근에는 일본에서조차 too ∼ to do을 so ··· that ∼can not으로 일률적으로 고칠 수 없다고 공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 다음 too ∼ to do구문을 『너무 ∼해서 ···할 수 없다』번역하는 것도 무리가 있습니다. 오히려 『∼하기에는 너무/아주 ···하다』로 번역하는 것이 훨씬 나은 경우가 더 많습니다.
The book was so hard that I couldn't read it.
이 문장은 두 문장이 연결된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the book was very hard + I couldn't read it
She was so obstinate that I couldn't persuade her.
이 경우도 일단 두 문장으로 보아야 합니다. she was very obstinate + I couldn't persuade her.
부정사에서 의미상의 주어를 나타낼 때는 for + O + to do가 원칙입니다. Geoffrey Chaucer(1342 - 1400)가 쓴 The Canterbury Tales를 읽어보면 for의 목적이 없는 for to do 이런 형태가 있습니다.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 형태가 이미 나타난 것으로 보아야 합니다.
of + O + to do 형태는 It + be 동사 + 특정 형용사 + of + O + to do 형태로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 특징이 있습니다.
It was rude of your friend not to shake hands.
It was clever of Tom to find that out.
여기서 rude, clever라고 평하는 것은 문장의 주어가 아닌 타인입니다. 이런 특징은 good, nice경우에 분명하게 나타납니다.
1.1 : It was nice of Tom to take the dog for a walk.
1.2 : It was nice for Tom to take the dog for a walk.
1.1의 경우에는 nice한 것은 Tom이 아니고 다른 사람입니다. 1.2의 경우는 Tom에게 좋다는 의미입니다.

독도와 몽고
국제법, 특히 공법을 정말 공부하고 싶었습니다. 특히 공법에서 영토, 국경선 문제를 연구하고 싶었습니다. 그 이유는 북간도 문제를 대비하고 싶었는데, 결국 뜻을 이루지 못했습니다.
일제가 조선을 대신하여 중국과 체결한 북간도 조약은 국제법상으로는 일단 무효입니다. 그리고 일본도 63년(?)에 무효선언을 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남북 통일이 된다고 해도 우리 영토가 상당히 좁은 편입니다. 적어도 만주일대와 몽고를 병합하고 인구가 2억 정도가 되면 세계사의 전면에 나설 수 있고 미국이 부럽지 않게 됩니다.
몽고와 우리는 혈연적으로도 아주 가깝기 때문에 몽고에 한국어 교육을 강화하고 동남아 외국인들을 사용하는 것보다는 몽고 사람들을 사용하고, 우리 기업들이 눈앞의 이익보다는 국가의 장래를 고려하여 몽고에 진출하여 언어, 문화를 어느 정도 통합시키고 나중에 외교적으로 병합을 하면 됩니다.
위정자들이 정말 정신을 차리고 매진해야 하는데...

그리고 허락하신다면 영어로 번역된 시 일부를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할 생각입니다. 그 마음은 제가 소중히 간직하겠습니다.

Wednesday, November, (the) twentieth, 2002, cold.
<Q>송구스럽게도 또 질문을 올립니다.
문제집에 있는 문제인데, 제 생각과 달라 선생님께 여쭤봅니다. 가르쳐 주시겠습니까?
“A and B finally got married.”
“I heard, but ( ).”
보기의 것 중에서 답은, I can hardly believe it.인 것을 알겠는데, hardly can I believe it.도 있어 제 소견으로는 이것도 가능한 것 같은데, 선생님의 가르침은 어떠신 지요? 그럼, 건강하시고 늘 행복의 길 위에서 서 계시길 바랍니다.
<ANSWER>
공란에 “hardly can I believe it”을 넣어도 어색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이런 표현의 사용 빈도는 아주 드물다고 보아야 합니다(사용된 예는 있습니다). 간혹 소설에서 혹은 방송(situation comedy)에서 과장된 표정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상적으로는 권하고 싶지 않습니다.

Thursday, the 21st of November, 2002, cold.
제가 좋아하는 고운 시 두 편을 영어로 번역한 것인데, 한번 봐 주시겠습니까?
따끔한 조언도 부탁드리겠습니다.

가벼워짐에 대하여 - 1 -
***habaraki*** 지음
댓잎들 사각거리는 뒤올 안에
달빛이 고봉으로 내립니다
장독대 헛배부른 항아리들이 깍지 무릎을 끼고
머리를 조아리고 있습니다
머리통들 위에 은빛살 환합니다
어디서 소슬한 동부새 한 줄금 불어오자
지느러미 파닥이며 살아나는 강물, 항아리들은
맹꽁이 울음을 싣고 그대로 청랑빛 바다입니다
하얀 모랫벌 저요, 저요 발동동 구르는
고사리손들 보입니다
나는 오진 마음에 입 다물지 못하고
어느것에게로 가서 먼저 가만 말 건네볼까
검지손가락 침 묻혀가며 망설이고 있습니다.

Landscape
written by Habaraki

On the leaves of bamboos inviting moonlight to their nest
The back yard is brimming with cozy gleam.
On the terrace where jars are placed
As if to listen to the lecture of Heaven
Swelling jars are giving a deep bow grasping their hands on the knees.
Silver ray is falling down over their heads.
Somewhere desolate east wind blows.
All at once river revives fluttering her fins.
Clean and blue sea falls into the jars obsessed with 'Croak. Croak'.
On white sands, as angelic children are stamping their feet,
Raising their cute hands, shouting,"I am here. I can do it."
They have the dew of dawn on their pupils.
I am happy enough not to shut my mouth.
I am hesitating to whom to step up and speak
Applying saliva to the tip of my index finger.
translated by ENARO 2002, 4, 3.

그리운 바다 성산포
- 이생진 -
살아서 고독했던 사람 그 빈자리가 차갑다.
아무리 동백꽃이 불을 피워도 살아서 가난했던 사람
그 빈자리가 차갑다.
난 떼어놓을 수 없는 고독과 함께 배에서 내리자마자
방파제에 앉아서 술을 마셨다.
해삼 한 토막에 소주 두 잔 이 죽일 놈의 고독은
취하지 않고 나만 혼자 등대 밑에서 코를 골았다.
술에 취한 섬 물을 베고 잔다.
저 섬에서 한 달만 살자.
저 섬에서 한 달만 뜬눈으로 살자
저 섬에서 한 달만 그리움이 없어질 때까지!

성산포에서는 바다를 그릇에 담을 수 없지만
뚫어진 구멍마다 바다가 생긴다.
성산포에서는 뚫어진 그 사람의 허구에도 천연스럽게
바다가 생긴다.
성산포에서는 사람은 절망을 만들고 바다는 그
절망을 삼킨다.
성산포에서는 사람이 절망을 노래하고 바다가 그
절망을 듣는다.
성산포에서는 한 사람도 죽는 일을 못 보겠다.
온종일 바다를 바라보던 그 자세만이 아랫목에 눕고
성산포에서는 한 사람도 더 태어나는 일을 못 보겠다.
있는 것으로 족한 존재 모두 바다만을 보고 있는 고립.
바다는 마을 아이들의 손을 잡고 한나절을
정신없이 놀았다.
아이들이 손을 놓고 돌아간 뒤 바다는 멍하니
마을을 보고 있었다.
마을엔 빨래가 마르고 빈 집에는 하품이 잦았다.

밀감나무엔 게으른 윤기가 흐르고 저기 여인과
함께 나타난 버스엔 덜컹덜컹 세월이 흘렀다.
살아서 가난했던 사람 죽어서 실컷 먹으라고
보리밭에 묻었다.
살아서 술을 좋아하던 사람 죽어서 바다에 취하라고
섬 꼭대기에 묻었다.
살아서 그리웠던 사람 죽어서 찾아가라고
짚신 두 짝 놓아주었다.
삼백육십오일 두고두고 보아도 성산포 하나 다
보지 못하는 눈!
육십 평생 두고두고 사랑해도 다 사랑하지 못하고
또 기다리는 사람! 또 기다리는 사람!

A missed sea, Seong-san-po
- A poet of the sea and the island, Lee saeng-jin -
Seeing he was lonely in his life, his vacant seat is felt cold.
However in full bloom a camellia may be like a flame,
Now he was poor all his life, a space without him is cold like ice.

On leaving the ship with solitude which has always breathed in my life
I drank sitting on a breakwater.
Two cups of so-ju and a piece of sea cucumber.
This tremendous loneliness getting sober, I only snored under the lighthouse.
A drunken island sleeps pillowing its head on the water.
I'd love to live in that island for only a month.
Without sleeping even a day, I'd love to live in that island for a month,
For only a month, until longing for you wears away.

In Seong-san-po, though no one can fill a bowl with the sea,
Out of every hole of it, each sea is made.
In Seong-san-po, despite his nonsense, our sea is naturally created.
In Seong-san-po, man producing despair,
The sea swallows it down.
In Seong-san-po, man singing despair,
The sea listens to it.
In Seong-san-po, no one can see even a man dies.
In Seong-san-po, no one can see the birth of a new baby,
Just gazing at the sea all day long lying on the warmest floor.

Only being there leaves nothing to be desired.
Everyone being obsessed by the sea, everything else is beyond every one's mind.
The sea played with children hand in hand for a day.
After they had returned to their home, the sea was merely looking at the town bluntly.
Laundries drying in the wind in the town, a calm evening was around the corner.
Mandarins were lustrous like a bum, and appearing with a woman,
An old bus was disappearing in the distance with our time carried.

Since he was needy in this world, he was buried in a barley field
So that he might eat enough food in the other world.
As he loved alcohol in this world, he was buried on the top of island
So that he might drink the sea-made liquor in the other world.
Because he missed his sweetheart in this life,
Two pairs of straw sandals were put in his coffin so he might go to find her.

To my regret, I can't see all the things in Seong-san-po with my eyes,
For all trying my best to do so every day all my life.
To my sadness, I can't feel all your heart with all my heart,
With all loving you every moment all my sixty years.
translated by ENARO 2002, 1, 18.
*Seong-san-po : the name of port called Seong-san in Je-ju Island
*so-ju : a kind of Korean liquor

이건 제가 쓴 겁니다. 부족하지만 선물로 드립니다.
On the First Excursion Day of a New Year
written by ENARO

Before the tinge of this night disappears totally,
I'll go to see the rising sun through the sea.

I'll wake up the slept time and tide of my loved people,
And make them follow their each young blue bird, their good mate,
Going to meet the sun which vomits a thick darkness.

Having thrown the light onto the bed where the sick are lying,
Having made a fire into the heart which the poor keep,
Having planted the hope in the eyes which the lonely have,
Having put the belief into the chest which the arrogant bear,
That red love of the sun having blazed up all 365 days long,
It will deliver its great calling to the love which is to be green all 365 days long.
I'll worship the holy ceremony with my white body bared.

Whenever I stare at every direction,
I'll put all the sufferings of people I turned back into my eyes.
Whenever I exhale every breath,
I'll plant every life I inhaled deep in my heart.
Whenever I lower my head,
I'll fill my mind with my future self, not my past self.
I'll fill my soul with you, not me.

Thanks to a mirror itself of yesterday,
Today is beautiful.
Thanks to the expectation itself toward tomorrow,
Today is the first excursion day of a rich new year.
Hand in hand with all loving people,
To turn the dirty air of past into the fresh one
I'll go to see the rising sun.
2002, 1, 1.
(조언)
간혹 어느 분야에 천재적인 소질을 가진 분을 만나게 될 수 있는 기회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범생이가 comment한다는 것 자체가 누를 끼치는 일이 될 수 있습니다. 시를 번역한다는 것이 정말 어려운데 그렇게 번역하신 것을 보니 경의를 표합니다. 저도 그렇게 번역할 자신이 없습니다.
12번을 읽어보았습니다. 처음에는 우리말을 보지 않고 읽어보았고 그 다음 비교를 해 가면서 읽어보았습니다. 그리고 난 다음 한 편의 아름다운 그림에 조잡한 덧칠을 할 수 없다고 결론 내었습니다. 한 가지 그런 소질들이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으면... 하고 바랄 뿐입니다.
ENARO 선생님, 선물은 너무 감사하게 받겠습니다. 작년 9월부터 시작하여 최근 몇 일 사이에 집중적으로 인간의 슬픔을 다 지켜보았습니다. ENARO 선생님이 사정을 짐작을 하신 것 같습니다. 감사드립니다.

Friday, November, 22, 2002, a little warm for the winter weather.
<Q>생활하다 보면 우리가 흔히 사용하고 있는 말 중에 잘못된 것이 많다고 하는데요, 예를 들면 아이쇼핑 같은 것 있죠. 이런 것들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학교에서도 이런 것을 가르쳐주지 않습니다. 30 개정도 알려주실 수 있으세요? 부탁드립니다. 굉장히 많은 것 같습니다.
<ANSWER>
흔히 사용하는 영어식 표현들이 반드시 잘못되었다고 말 할 수 없습니다. 우리말에 없는 표현이 우리말에 동화하여 우리말로 변질되고 있다면 반드시 영어식 표현을 고집할 필요가 없습니다. 번역작가 안정효 씨가 이런 표현만을 모아 Konglish 사전이라는 책을 발간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그 책을 참조하시고 10개 정도만 제시합니다.
우선 eye shopping이라는 표현은 영어권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여기에 해당되는 표현은 browse입니다. (ex) You are welcome to come in and browse.
(1) 커닝하다 : 영어에서 cunning은 형용사로 교활한, 비열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영어식 표현으로는 cheating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2) 핸들을 잡다 : 영어에서 handle는 손잡이를 의미합니다.
자동차 핸들은 steering wheel이라고 합니다.
(3) 깁스를 하다 : 석고를 의미할 때 gypsum을 사용합니다. 깁스는 여기서 파생된 것으 로 추측하나 영어식 표현으로는 cast라고 하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4) 매니큐어를 칠하다 : 영어에서 manicure는 손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영어에 서는 nail polish 라고 표현합니다.
(5) 링게르를 맞다 : 영어에서는 IV(intravenous) injection이라고 표현합니다. 어떻게 링게르라는 표현이 사용되었는지는 정확하지 않으나 Dr. Ringer라는 이름에서 혹은 의학용어 Ringer lactate에서 유래되었 을 수도 있습니다.
(6) 사이다를 마시다 : 영어에서 cider는 사과즙을 이용한 음료수 혹은 사과즙을 발효시 켜 만든 알코올이 포함된 음료수를 의미합니다. 우리말 사이다는 탄산음료입니다. 정확한 용어로는 carbonated drink라고 하지만 흔히 soda, soft drink(알코올이 포함되지 않은 음료수)라고 표현합니다.
(7) 돈까스 : 영어에서 돈까스라는 표현은 없고 pork cutlet의 일본식 표현이 우리나라 로 유입된 것으로 추측합니다. 영어에서 cutlet는 소고기, 돼지고기 등을 얇 게 저민 다음 여기에 빵가루를 묻혀 기름에 튀긴 요리를 의미합니다. 흔히 pork cutlet 혹은 beef cutlet..등으로 사용합니다.
(8) 러닝 셔츠 : 우리 말 표현에서 남성용 속옷을 흔히 러닝 셔츠라고 하나 영어에는 이 런 표현이 없고 a tank-top shirt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포괄적으로는 underwear라고 합니다.
(9) 비닐봉지 : 흔히 주변에서 종이 봉지를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종이 봉지는 paper bag 이라고 하고 비닐 봉지는 plastic bag이라고 표현합니다.
(10) 애프터서비스 : after service는 일본에서 시작된 표현입니다. 정확하게는 after sales service라고 표현합니다. 그러나 일본 상품이 전 세계에서 사용 되고, 영어권에서도 이 표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널리 알려져 오늘날 A/S라는 표현은 영어에 흡수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Saturday, November (the) 23th, 2002, a little warm for the winter weather.
<Q>왜 이렇게 모르는 게 많을까요?
1.a : She heard a baby cry somewhere.(O)
1,b : She heard a baby crying somewhere.(O)
글을 쓰는 사람의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상의 차이만 있고, 두 문장 다 문법적으로는 맞는 게 아닌지요?
2.a : The teacher is describing a problem to the students.(O)
2.b : The teacher is explaining a problem to the students.(O)
제 생각엔 다 맞는 것 같은데, 책에는 두 번째 문장만 맞다고 되어 있어 질문드립니다.
<ANSWER>
언어공부가 정말 어렵고, 끝이 없습니다. 이것은 언어를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가야하는 運命(운명)입니다. 누구나 마찬가지입니다.
1.a : She heard a baby cry somewhere.
1,b : She heard a baby crying somewhere.
둘 다 올바른 문장입니다. 영미영문법학계에서 『hear + 목적 + do』, 『hear + 목적 + doing』의 차이를 대략 두 가지로 설명합니다. 첫째로 『hear + 목적 + do』는 동작이 완결된 경우를 언급할 때 혹은 관념적인 경우에 사용됩니다. 그러나 『hear + 목적 + doing』은 지금 동작이 진행되고 있을 때 혹은 듣고 있을 때 사용됩니다.
In the process of seeing, hearing and feeling English allows the Phenomenon to represent a situation that is either completed or not completed. This aspectual distinction is realised by the type of non-finite clause chosen : a to-infinite clause with its own Subject represents the situation as completed, whereas an -ing clause with its own Subject represents the Phenomenon as in the process of happening.
(see, hear, feel 등의 동사의 경우에는 어떤 상황이 완결되었는지, 완결되지 않았는지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부정사는 상황이 완결된 경우에, -ing는 상황이 진행중인 경우에 사용된다)
(출전 : Angela Downing and Philip Locke ; A University Course in English Grammar, p 127)
그 다음은 동작이 일회인지 연속인지 문제가 됩니다.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여기서 유념하여야 하는 것은 사용된 부사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I heard the door slam just after midnight.
자정이 지난 직후 문이 꽝 닫히는 소리를 들었다.
I heard the door slamming all night long.
밤새도록 문이 꽝꽝 닫히는 소리를 들었다.
여기에 관한 내용은 R. A. Close의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1972) p 137 및 R. Quirk & S. Greenbaum의 A University Grammar of English(1973년), p 362에 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였습니다.
2.a : The teacher is describing a problem to the students.
2.b : The teacher is explaining a problem to the students.
이 부분은 책 내용이 타당합니다. 2.a 문장은 올바른 문장으로 볼 수 없습니다. 이 관점은 Lexicon과 Collocation의 관점에서 보아야 합니다. 우선 Lexicon의 관점입니다. 교사와 학생과의 문맥에서 사용된 describe, a problem은 그 의미가 한정됩니다. 즉 한정된 문맥에서 describe의 의미 a, b, c와 problem의 의미 x, y, z를 대조해야 합니다. 수학에서 집합처럼 다음과 같은 조합이 가능합니다.
a - x
a - y
a - z

b - x
b - y
b - z

c - x
c - y
c - z
여기서 a problem은 동작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동작과 함께 상용되는 describe의 의미는 제거되어야 합니다.
describe가 말을 하는 것과 관련될 때에는 Lexicon적인 관점에서 describe는 있는 그대로를 기술하는 것, 즉 모양, 특징 등을 기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래 용례를 보세요.
describe the boat
describe the landscape
describe the village
describe the woman he met
The patient was able to describe his symptoms accurately to the doctor.
(환자가 의사에게 증상을 기술하고 있습니다)
“Can you describe her?”“A very goodlooking girl ― twenty-six or twenty-seven, really an outstanding figure, and... well, she's stand out anywhere as a real beauty if it wasn't...”
(그녀의 생김새를 묘사합니다, 미모가 뛰어나고 26 혹은 27 살 가량 되어 보이고 ...이 아니라면 어디에서든지 정말 미인으로 눈에 뜨일 것이다...)
problem의 관점에서 보면 a problem은 학교, 교사, 학생 사이에서 발생한 문제(trouble), 논의가 되고 있는 사회현상, 혹은 시험문제 등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 a problem이 시험문제를 의미한다면 describe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Lexicon에서 describe는 있는 그대로를 기술하는 것, 즉 모양, 특징 등을 기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다음 a problem가 학교, 교사, 학생 사이에서 발생한 문제라면, 이런 경우는 가능합니다. 학생들을 모아 놓고 그 문제를 있는 그대로 설명해 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기에 자의적인 판단, 느낌, 혹은 해설이 개입되면, 이것을 describe라고 할 수 없습니다.

Sunday, the 24th of November, 2002, a little warm for the winter weather.
The following writing is a letter, which was sent to my English master in Seoul. Though I have never seen him, I have been regarding him as my best master on English. Today, I wrote this letter in his site on the internet(www.mosit.com) to ask for his help.
<Q>잘 계신지요? 염치 불구하고 정말 오랜만에 궁금한 것 몇 개 들고 찾아 뵙습니다.

1.have동사 문제(사역의 의미)
"What did the teacher want the students to do?"
"The teacher had the students ( ) all afternoon?
ㄱ.write ㄴ.wrote ㄷ.writing ㄹ.written
정답이 'ㄷ'이라고 되어 있는데, 제 소견으로는 오히려 "ㄱ"이 정답이라고 생각이 되어 고견을 듣고자 올립니다.

2.영작문제
'끊임없는 노력으로 그는 오늘날과 같이 되었다.'
답은, He has become what he is with constant effort.라고 되어 있는데, He owes what he is to his constant effort.도 가능하지 않은 지 질문을 올립니다.

3.독해 문제
다음의 주제는?
The Constitution embodies the ideological view of man and of government in its relationship to man. People have both rights and interests ; government must respect for the former : and it should permit the individualistic pursuit of the latter so long as either national unity or basic rights are not infringed. The polity would be failing if striving individuals were unable to advance their interests within it - or if they were able to be too successful, since every special interest is inherently "activated by some common impulse or passion adverse to the rights of other citizens, or to the permanent and aggregate interests of the community", as James Madison put in The Federalist Papers. The balance must be found in an elaborate social-political pluralism, where no group or interest can get too strong. Underlying the entire constitutional arrangement, then as now, is the classical liberal distrust of power as a threat to the sovereign individual. The answer to this problem of power : disperse it and limit it.
보기에는, ㄱ.the origin of the Constitution ㄴ.the American individualism ㄷ.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ㄹ.the social-political pluralism이 있는데, 한 책에서는 'ㄷ', 또 다른 책에서는 'ㄹ'이라고 되어 있는데, 제 생각에도 이 문제의 내용으로 보아, "ㄷ"과 "ㄹ"이 같은 것을 말하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선생님의 생각은 어떠신지요?

4.어휘문제
This tie doesn't go with that red shirt at all.에서 go with와 뜻이 같은 것은?
ㄱ.accompany ㄴ.match ㄷ.become ㄹ.join
답은, 'ㄴ'으로 되어 있는데, 'become'은 반드시 다음에 사람이 나와야만 사용하는 것인지, 그리고 'suit'도 'match'와 바꿔 쓸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정확한 내용을 몰라 가르침을 원합니다.

5.다음 대화에서 어울리지 않는 것은?
A:Do you mind if I borrow this book?
B:
ㄱ.No, not at all ㄴ.Yes, I do
ㄷ.I'm sorry, I promised it to someone else
ㄹ.No, I don't.
답은 'ㄴ'이라고 되어 있는데, 보기중에서는 "ㄷ"이 답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ㄷ"도 가능할 것 같은데 정확한 가르침 좀 주시겠습니까?
저번 추석에는 전화 주신다길래 기다렸었는데, 연락이 없어 다음을 기약하며 보냈습니다. 언제라도 진주 오시면 연락 주시기를 바라며, 댁내 건강과 행운의 기운만이 감돌기를 바랍니다.
<ANSWER>
1. have동사 문제(사역의 의미)
“What did the teacher want the students to do?”
“The teacher had the students ( ________ ) all afternoon?”
(ㄱ) write
(ㄴ) wrote
(ㄷ) writing
(ㄹ) written
(ㄱ)을 답으로 보시는 견해에 동의합니다. 그러나 그 이전에 문제 자체가 합당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A : What did the teacher want the students to do?
B : The teacher had the students ( ________ ) all afternoon?
B를 A에 대한 답으로 보기에는 어색합니다. 오늘날과 달리 이전 70년대 TOEFL 문제에서는 chime-in을 무척 강조했습니다. chime-in 관점에서 보면 want + 목적 + to do 형태를 질문했기 때문에 want + 목적 + to do 형태에 맞추어 답을 해 주는 것이 기본입니다.
Arthur Conan Doyle의 The Adventure of the Abbey Grange에 있는 내용입니다.
“. . . If you will treat me as a friend and trust me, you may find that I will justify your trust.”“What do you want me to do?”“To tell me the truth.”“Mr. Holmes!”. . .
이 관점(chime-in)에서 보면 답은 (The teacher wanted the students) (to) write all afternoon이 될 수 있습니다.
그 다음, “have + 목적 + doing”형태는 주로 세 가지 형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The verb have is used in this pattern (as in sentences 1, 2, 3) with can't and won't meaning ‘allow’or ‘permit’. It is also used, as in the other examples,to indicate a result or outcome, or an experience.
(출전 : A. S. Hornby : Guide to Pattern and Usage in English)
①allow 혹은 permit를 의미할 때는 can't 혹은 won't와 함께 사용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I can't have you doing that.
I won't have them forcing their views on everyone else.
② have + 목적 + doing에서 doing이 먼저 일어난 동작일 경우입니다.
George has a car waiting for us.
While he had this threat hanging over him, he was quite unable to work.
③ 결과적으로 유발된 동작을 나타냅니다.
George had us all laughing.
참고로 “동사 + 목적 + doing”형태에는 몇 가지 일관된 공통점이 있습니다.
1.1 : I found him dozing under a tree.
1.2 : I caught him stealing apples from my garden.
1.3 : Can you imagine these fat men climbing Mt. Kenya?
1.4 : George has a car waiting for us.
1.5 : While he had this threat hanging over him, he was quite unable to work.
둘 다 doing이 먼저 발생된 동작입니다. 그 다음은 결과적으로 유발된 동작을 나타냅니다.
2.1 : George had us all laughing.
2.2 : The explosion sent things flying in all directions.
2.3 : A phone call sent him hurrying to London.
2.4 : The news left me wondering what would happen next.

2. 영작문제
‘끊임없는 노력으로 그는 오늘날과 같이 되었다.’
He owes what he is to his constant effort.
간결하고 아주 좋은 문장입니다. Ralph Waldo Emerson의 The Conduct of Life에 유사한 용례가 보입니다. Poor country boys of Vermont and Connecticut formerly owed what knowledge they had, to their peddling trips to the Southern States . . .

3. 독해 문제
다음의 주제는?
ⓐThe Constitution embodies the ideological view of man and of government in its relationship to man. ⓑPeople have both rights and interests ; government must respect for the former : and it should permit the individualistic pursuit of the latter so long as either national unity or basic rights are not infringed. ⓒThe polity would be failing if striving individuals were unable to advance their interests within it - or if they were able to be too successful, since every special interest is inherently “activated by some common impulse or passion adverse to the rights of other citizens, or to the permanent and aggregate interests of the community,”as James Madison put in The Federalist Papers. ⓓThe balance must be found in an elaborate social-political pluralism, where no group or interest can get too strong. ⓔUnderlying the entire constitutional arrangement, then as now, is the classical liberal distrust of power as a threat to the sovereign individual. ⓕThe answer to this problem of power : disperse it and limit it.
ⓐ에는 인간과 통치제도에 관한 이상적인 견해를 담은 것이 헌법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