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
3.답변
1번)프린트물의 중복되어 쓰인 good care는 제가 착각해 잘못 쓴 것입니다. 시간이 없어 프린트물 정정을 못했네요. 미안합니다.^^
2번)그 문장에서 의문사는 목적어가 아니고 목적격보어입니다. 교재가 잘못되었네요.^^
3번)I gave him the key. (4형식)
- (나는 그에게 열쇠를 주었습니다)
→ ⓐThe key was given him by me. (3형식: 여전히 목적어 him이 있기 때문)
* 4형식문장의 직접목적어 "the key"를 주어로 수동형을 구성했습니다.
* 간접목적어 "him"은 그대로 남아 있으면 됩니다. (이 경우 "given"은 여전히 수여동사 입니다)
* 내가 준 것이니까 원래 주어 "I"는 "나에 의해서"라는 부사구 "by me"가 되어 문장의 뒤로 갔습니다.
→ ⓑThe key was given to him by me. (2형식: 분사 "given"은 주격보어)
* 위의 문장과 비슷하지만 이 경우 간접목적어를 그대로 두지 않고 전치사 "to"를 붙여서 부사구로 처리했습니다. (이 경우 과거분사 "given"의 원래 동사 "give"는 수여동사가 아니라 단순타동사입니다)
ⓐ와 ⓑ를 읽어 보고 이해가 어렵다면 전치사 'to'를 생략할 수 있다하고 기억하기 바랍니다.
→ ⓒHe was given the key by me. (3형식: 여전히 목적어 "the key"가 있음) * 간접목적어 "him"을 주어로 수동태 문장을 만든 경우. 따라서 목적격 "him"이 주어가 되니까 주격 "he"로 바뀐 것임.
* 이 문장은 ⓑ문장처럼 "He was given to the key by me"라고 할 수 없습니다. 해석을 해보면 왜 안 되는지가 분명해 집니다. (그는 나에 의해서 열쇠에게 주어졌다). 그에게 열쇠가 주어졌지, 열쇠에게 그가 주어졌다는 것은 말이 안 됩니다.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질문입니다. 1. Children's Day (comes/falls) on Friday this year. 2. This room (commands/commits) a fine view of the day. 3.A change of air will (give/do) you good. 4.We (opend/gave) a party in celebration of his 70th birthday. 5.There is always (heavy/busy) traffic on this street. 6. Spring is just (around/near) the corner. 7. An enthusiastic photographer (develops/illustrates) all his own film. 8.This new model of car is so popular that they have had to open a new factory to (beat/meet) the demand. 윗 문제들 정답 좀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ENARO : | 1.falls 2.commands 3.do 4.gave 5.heavy 6.around 7.develops 8.meet |
2.
준동사 질문입니다^^; The silence was deafened가 The silence was deafening가 되어야 맞다고 하네요. deafen은 사전찾아보니까 타동사의 쓰임 뿐이 없던데.. 그럼 목적어가 있어야 하지않나요? 예를들어 The silence was deafening me 이런식으로요.. The silence가 귀가 먹을순 없으니 능동인건 알겠는데.. 어째서 저렇게 me 혹은 us처럼 뒤에 목적어가 없는거죠? 타동사 능동인데 말이죠.. 원문은 We were surrounded by those mountains and two people were missing; the silence was deafened; There was no one around; it was the sense that if something should happen to us, no one would save us. |
|
ENARO : | The surprise party was surprising.와 같은 이치네요.^^ |
3.답변
1번)프린트물의 중복되어 쓰인 good care는 제가 착각해 잘못 쓴 것입니다. 시간이 없어 프린트물 정정을 못했네요. 미안합니다.^^
2번)그 문장에서 의문사는 목적어가 아니고 목적격보어입니다. 교재가 잘못되었네요.^^
3번)I gave him the key. (4형식)
- (나는 그에게 열쇠를 주었습니다)
→ ⓐThe key was given him by me. (3형식: 여전히 목적어 him이 있기 때문)
* 4형식문장의 직접목적어 "the key"를 주어로 수동형을 구성했습니다.
* 간접목적어 "him"은 그대로 남아 있으면 됩니다. (이 경우 "given"은 여전히 수여동사 입니다)
* 내가 준 것이니까 원래 주어 "I"는 "나에 의해서"라는 부사구 "by me"가 되어 문장의 뒤로 갔습니다.
→ ⓑThe key was given to him by me. (2형식: 분사 "given"은 주격보어)
* 위의 문장과 비슷하지만 이 경우 간접목적어를 그대로 두지 않고 전치사 "to"를 붙여서 부사구로 처리했습니다. (이 경우 과거분사 "given"의 원래 동사 "give"는 수여동사가 아니라 단순타동사입니다)
ⓐ와 ⓑ를 읽어 보고 이해가 어렵다면 전치사 'to'를 생략할 수 있다하고 기억하기 바랍니다.
→ ⓒHe was given the key by me. (3형식: 여전히 목적어 "the key"가 있음) * 간접목적어 "him"을 주어로 수동태 문장을 만든 경우. 따라서 목적격 "him"이 주어가 되니까 주격 "he"로 바뀐 것임.
* 이 문장은 ⓑ문장처럼 "He was given to the key by me"라고 할 수 없습니다. 해석을 해보면 왜 안 되는지가 분명해 집니다. (그는 나에 의해서 열쇠에게 주어졌다). 그에게 열쇠가 주어졌지, 열쇠에게 그가 주어졌다는 것은 말이 안 됩니다.
4.
이젠 맘 잡아야 겠죠? 어제 마지막으로 알바 마치고 직원분 들과(여직원 분들만)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점심 식사를 했습니다 마지막 이어서 그런지 좀 잘해주실려고 그러시더라구요 그냥 하는 말인지는 모르지만 이제 까지 알바생 중에서 제일 성실한 편이었다고... 전화 잘 받고... 그래요 전 다른 칭찬 보다는 그냥 그 한마디에 조금은 위안을 가졌답니다. 그래도 뺀질 뺀질 농땡이 부리고 열심히 안하더라는 말은 듣기 싫어서요 정말 마지막날이어서 적당히 할 수도 있는일이지만 전 열심히 했거든요... 퇴근 시간이 다되어서 월급 받고 직원분들과 별로 친하진 않았지만 그래도 제가 거의 두달동안 일했던 곳이어서 잘있다간다는 인사는 하고 가는게 도리인것 같아서 인사드리고 왔어요 그냥 남들이 어떻게 생각하든지 간에 잘 가라는 말하시든지 안하시든지 상관없이 전 그냥 제 말만 하고 왔어요 히~ 근데 알바 끝나고 나니 속이 후련하네요 무언가 나를 구속하던 것이 없어진 느낌... 이제 공부 열심히 할 일만 남았네요 .... 공기업이 그런데, 사기업은 더 힘들게 일할 것 같아요 그래서 결론은 꼭 열공해서 공무원 되자는것... 이상이 제 알바에 관한 넋두리 였습니당...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해요... 그럼 오늘 하루도 마무리 잘 하시구요 흑~ 학원에 수업 들으러 간다는게 왜 잘 안될까요.....이제 공부해야 하는데... |
|
|
|||||
|
|||||
|
5.
질문있어요~ ㅎ Could anyone solve this problem, i will give him a day off. 에서 will이 would가 되어야 맞다고하는데 이문장은 불확실한 가정법 미래를 나타내고 will would둘다 같이 쓸 수 있지않나요? |
|
|
|||||
|
6.
선생님~기초적인 질문을...ㅎ 프린트로 수업을 하니 단어를 빼먹지도 않고 또한 저의 실수로 오타로 적는일이 없어져서 참좋네요^^ 가끔씩 제가 오타로 적어서 다시 찾는데 힘들었거든요ㅋ 오늘은 아주 사소한 간단한 문제로 질문을..^^; Even though going out for two years, she and I are still not talking the same language. 오늘 프린트 마지막문자이였는데요. she and I are 에서 전 are 가 왜 이상하게 보이는것일까요.. 지금 토요일기본 필기한것을 찾아보고 해도 헷갈리네요^^ 너무 쉬운걸 모르는것 같아서 부끄럽습니다ㅎㅎ (상관접속사)에서 배웠던 A와B에서 동사는 B에 일치한다는 것과는 다른것인가요? |
|
|
|||||
|
7.
답변 > 6번문제 > > 6. A cent 1(is worth so little that) we don't usually bother to pick it up on the street. 2(lt's difficult that we gather) between finger and thumb, and the reward 3(seems hardly worth the effort). But, with a little extra effort, there little coins 4(are picked up) by goodwill organizations. <답변>부사는 동사, 형용사, 부사, 문장전체를 수식한다는 건 아실테고, 빈도부사가 동사를 수식할 때는 일반동사앞, be동사나 조동사뒤가 되지요. 그런데 위의 문장에서는 hardly가 worth라는 형용사를 수식하고 있네요. worth라는 형요사를 수식하기 위해서는 부사가 그 앞에 턱 버티고 있어야겠지요.^^ > > 10.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것은? > There is a lesson ..(밑줄).. by word and behavior of the common people > ㄱ.which is known ㄴ.to be learned > ㄷ.that is had ㄹ.for being gained <답변>ㄱ을 답을 해도 구조상 문제가 없습니다. 관계대명사절이 형용사절이 되니까요. 그리고 ㄴ은 to부정사의 형용사적 한정용법인데, 의미상 ㄴ이 더 적합하네요. '보통 사람들의 말과 행동에 의해서도 배울 수 있는 교훈이 있다.'라는 내용이네요. 참고로 "A be known by B"는 'B를 보면 A를 알 수 있다'라고 해석을 하면 됩니다. 고로 의미가 이상해지지요. 이번 노동부 시험이 공무원 마지막 시험이 되길 바랍니다. 최선을 다하시고 하늘을 바라보시길... 그리고 반드시 자신감을 가지시길 바랍니다. 좋은 결과를 위해 마음을 모아 드리겠습니다.^^ |
|
휴 : | 감사합니다. 어디서나 명확하게 잡힐듯 해답을 쥐어주시는 샘깨 감사. 셤은 정말 자신이 없네요. 시간이 줄여지지가 않아서.. 몇번이고 모의고사쳐봐도 줄어들지가 않네요..아휴. 어머니몰래 치러 가는 심정,.어쨋든 주말 잘보네세여 |
8.
질문입니다 ^ ^ 이제 막 공부시작하는 학생입니다 ; 필수문법 문제를 풀어봤는데, 답이 무엇인지 잘 몰라서요 ! 1. ( The singing, singing) of carols is great fun . 이 문제는 수업을 들었던거 같은데, 기억이 잘 나지 않아서요 ^^; The singing 이 답이 맞나요? 무엇이 포인트인지요? 2. She is (all attentive/all attention) = she is ( attention itself/attentive itself) = she is (very attentive/ very attention) 3. The poet and the musician (was/were) present. 4.She has a heart of gold의 뜻이 무엇인가요? Jhon is as hard as nails. Her ideas are off the wall He's a really top-notch administrator. |
|
enaro : | 1.명사/동명사 의 구별 singing carols-o . singing of carols-x the singing carols-x . the singing of carols-o 2.all 추 = 추 잇 =배 영 3.정관사 the 하나 - 한명 정관사 the 둘 - 두명 4. 그여자맘은 비단결이야 존 은 참 차가운사람이야 그녀의 아이디어는 참 기발해 그는 고위직 행.. |
9.
해석이 잘 안되요 ㅜ 선생님, Now is a crucial point at which to reconsider the war against terror. which to reconsider에서, which가 관계대명사인가요? 의문사인가요? 전치사 at의 목적어로 which to reconsider 이 사용되었나요? 지금은 테러와의 전쟁을 어떤 식으로 다시 생각할 것인지에 대한 중요한 시점이다. 대충 제가 해석해봤는데, 좀 고쳐주시겠어요 ? 부탁드립니다 ! |
|
ENARO : | "지금은 테러와의 전쟁을 다시 고려해보아야 할 중요한 시점이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10.
오늘수업한거 지각동사에 관하여 질문있습니다 오늘 수업중에 문제 푼거 중에서요 She was seen (to cross, cross, crossing, crossed) the street by him 이문장에서요 답을 to cross라고 하셨는데요 crossing은 안되는건가요? 능동태일때는 cross랑 crossing둘다 가능한데... crossing은 능동태랑 수동태랑 같은 형태라서... 궁금합니다 답변 기다릴께요 |
|
ENARO : | 예, 가능합니다. 그걸 빠뜨리고 설명했네요.^^ |
11.
학원 수업 시간이요/// 방학이 끝난후, 그러니까 9월달부터는 학원 수업 시간이 어떻게 변경되는지 알고싶습니다. 저는 영어단과만 듣고 있습니다.:) |
|
|
|||||
|
|||||
|
|||||
|
|||||
|
12.
질문입니다. 오늘 강의때문에 축구 못보셨죠? 음...저도 영어공부하느라 축구보는 걸 과감하게 포기했답니다. 2:0으로 이겼다네요. 정말로 월드컵 오기 전에 빨리 합격해야 겠습니다. ^^ 오늘은 가정법 문제인데요. 보충프린트 f번 I wish 가정법 3,4번 3. I wished (that) I were rich = I was sorry I was not rich. => 왼쪽 문장이 가정법 과거인데 오른쪽 직설법 문장은 왜 직설법 현재가 아닌가요? 가정법 과거는 현재사실의 반대가 되어야 하지 않나요? 4. I wished I had been rich = I was sorry I had not been rich. => 위와 같은 질문일테지만 왼쪽 문장은 가정법 과거완료인데 그렇다면 오른쪽 직설법 문장은 직설법 과거가 되어야 하지 않나요? |
|
|
|||||
|
13.
홈피에 이것도 잇나요? 우리가 문법 배울때 넘기면서 공부하는것 있잖습니까~ 공무원영어준비생의 필수문법 혹시 이것도 여기 파일로 있으신지요? 매일접어다녀서 스핑노트처럼 만들려고 하는데요 혹시 파일이 있으면 프린터해서 할려고 하는데 문법 비슷한게 있긴 하던데 순서가 다른건지 없는것 같기두 하고 있으면 프린터를 할낀데^^* 답변 좀 달아주십시요!! 아님 혹시 이멜로 파일로 보내주시는 이 귀찮은부탁을 드려도 될지 ㅡㅡ' ehdi2436@naver.com |
|
ENARO : | 게시판의 119, 120번을 뽑아서 지금의 프린트물과 비교해보시면 되겠네요. 파일로 보내 드리지 못해 미안하네요. |
14.
질문있습니다^^ 정답올려주셨서 감사합니다^^ 인사가 늦었네요 Although i have lived 이분에서요 동사에 밑줄이 있으면 주어의 단복수를 확인하고 두번째는 since 확인하고 과거 ago확인하고 아님 for 기간~이잖아요 근데요 have lived 는 복수아닌가요? 현재완료는 i는 단수잖아요 그럼 has lived아닌가요?아님 현재완료 라서 Although i have lived in the 맞는가요 책에는 맞다고나오는데 제가 이해가 안가서요 그리고 또 하나요 수업시간에요 be pp (x) 안되는 동사에서 disappoint 안된다고하셨는데.. 그때 예문에서 i was disappointed 라고 예를 들었는데 그때 기억에 감정결부 동사 설명하시면서 한 예문인데요 사람 감정 동사 pp 사물 감정 동사 ing 설명하실때 이 예문 사용하셨는데 그땐 그냥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고 하신거죠? 분명히 disappoint는 수동태가 없는 동사라고 알고 있는데 필기도 되어있고 근데 필기한거 보니깐 이상해서요^^ |
|
|
|||||
|
|||||
|
|||||
|
15.
질문입니다. 다음 가로 부분과 같은 용법으로 쓰인 것 찾는건데요. Do to others as you (would) be done by. 1. He (would) be strong when he climed the Alps. 2.He who (would) search for pearls must dive deep. 3.He (would) often come to see me. 4.I thought to (would) not soon get well. 답이 2번이라 되잇는데 윗 문장 해석이 "니가 대접받고 싶은대로 남에게 대하라"이뜻같은데;;;;;;2번 해석이 "그는 진주를 찾기위해서 깊이 잠수해야만한다" 이니까...1번은 추측의 would 같고....;;;;; 잘모르겠습니다;;설명 부탁드립니다;;; |
|
ENARO : | 둘 다 소망을 나타내는 would입니다. "--하고 싶다"라는 의미입니다. |
16.
질문입니다. This factory is at present producing __________. 1.twice more than it did before 2.two times as much as did it before 3.twice as much as did it before 4.two times more than it did before 답이 4번이라고 되있는데요 배수사 표현시 3배 이상일때만 비교급을 쓸 수 있는 것 아닌가요? 왜 4번이 되는지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
|
ENARO : | 비문법적 표현으로 사용하는 이도 있기는 하지만, 원칙적으로 답은 없습니다. 가능하다면 1번도 답이 되겠지요. 열공! |
17.
수동태 관련 질문입니다. 수동태에 관한 질문입니다. 수동태는 대체적으로 be+P.P by 목적어로 되는데 특히 이 문장이 왜 수동태가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smallpox spread by contagion. the first major program begun by the british of its colonies was an exhaustive cadastral survey for purpose. |
|
ENARO : | 주격관계대명사와 be동사는 생략이 가능합니다.^^ |
18.
2006국가직 영어시험 완벽복원입니다. (1~2)< >안의 단어와 뜻이 유사한 단어 찾기. 1. If you happen to have an unhealthy <penchant> for salt, it may not be solely your fault. Mom may have to share some of the blame, or so suggests a small but intriguing body of research. ① ailment ② ornament ③ treatment ④ liking 【어구】• penchant : 경향(inclination); 강한 기호(liking) • or so : …쯤, …정도 • intriguing : 흥미를 자아내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① 병; 불쾌 ② 꾸밈, 장식(품), 장신구 ③ 취급; 대우; 치료(법); 처리 【번역】만일 우연히 건강에 좋지 않은 소금을 몹시 좋아한다면, 그건 당신만의 잘못이 아닐지 모른다. 어머니께서 그 책임의 일부는 함께 지셔야 할지 모를 일이며 그 정도일 것이라고 소규모인지만 흥미를 돋우는 한 연구단체가 시사하고 있다. 정답】④ 2. once pregnant, women face an uncomfortable reality: The stigma of unwed motherhood is greater than that of having an abortion. Students are often forced to drop out of school. Working women can find their careers <jeopardized>. ① increased ② destroyed ③ endangered ④ revealed 어구】• pregnant : 임신한 • uncomfortable : 마음이 편치 못한, 거북한; 살기 불편한, 난처한, 곤란한 • stigma : 오명, 치욕, 불명예, 오점; 반점 • unwed motherhood : 미혼모 (상태)(unwed mother) • have an abortion : 유산(낙태)하다 • drop out of school : 중퇴하다, 학교를 그만두다 • career : 직업; 생애, 경력, 이력; 출세, 성공 • jeopardize : 위태롭게 하다(endanger) ④ 드러내다, 폭로하다 번역】일단 임신을 하게 되면, 여성들은 살기 불편한 현실에 직면하게 된다. 즉, 미혼모라는 오명이 낙태하는 것의 그것보다 더 큰 일이다. 학생들은 종종 부득이하게 학교를 그만두게 된다. 근로하는 여성들의 경우는 자신들의 직장이 위태로워 질 수 있다. 정답】③ 번역】그 상원의원은 그 조치에 대한 자신의 지지가 재선 가능성을 위태롭게 할 것이라는데 동의했다. 3. 다음 밑줄 친 곳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숙어는? • Half through the chapter I stopped. I could not < >a single word. • The people in the neighborhood of the university have difficulty to < >students to add to the income. • It was really easy to < >you. ① take in ② figure out ③ pick up ④ get through 어구】• in the neighborhood of : …의 근처에(의); 약, 대략… • add to : 더하다, 첨가하다, 증가하다 ① take in : (집 등에) (맞아) 들이다, 숙박시키다, (하숙인을) 두다; (집에서 하기 빨래․바느질감 등을) 맡다, (신문 등을 집에서) 대어 보다․구독하다; 속이다(deceive); (토론‧강연‧말 등을) 이해․납득하다(understand); 흡수하다; (마음속에) 받아들이다; 포괄․포함하다 ② figure out : …을 계산하다, 계산해서 합계를 내다, 총계 …이 되다; (생각한 끝에) 알다, 이해하다(understand, make out)(이 경우 목적어는 주로 의문사절); …을 해석‧평가하다; 해결하다, 생각해 내다 ③ pick up : 차에 태우다, (차로 사람을) 마중 나가다, 도중에서 태우다; (물건을) 집다, 집어 올리다; (집어) 고르다, 선택하다; (건강․기운을) 되찾다, 회복하다, 향상하다; (우연히) 입수하다, 몸에 익히다 ④ get through : 빠져나가다, (의안 등이<을>)통과하다(시키다), (시험에) 합격하다; 마치다, 끝내다, 마무리하다(with); (전화가) 통하다 번역】• 그 장(章)의 절반을 읽다가 나는 그만뒀다. 나는 단 한 단어도 이해할 수 없었다. * 그 대학 근처의 사람들은 수입을 더하기 위해 학생들을 숙박시키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 너를 속이기란 정말 쉬웠다. 4. This attitude - that nothing is easier than to love - has continued to be the prevalent idea about love in spite of the overwhelming evidence ___________ . ① in vain ② in addition ③ by and large ④ to the contrary 어구】① 헛된, 헛되이 ② 게다가, 더구나, 그 위에 ③ 전반적으로, 대체로 ④ 그와 반대의(반대로), 그렇지 않다는 【번역】이러한 태도 - 어떤 것도 사랑하는 것보다 쉬운 것은 없다는 - 는 그와 반대(상반)되는 압도적인 증거에도 불구하고 사랑에 대한 널리 퍼진 사상이(태도가) 지속되어 왔다. 【해설】'양보(in spite of)' 표현의 앞뒤에는 대조적 관계를 두고자 하는 경우이므로 ④번이 가장 적절하다. nothing is easier to love는 비교급을 사용한 최상표현으로 결국 ‘사랑을 하는 것이 가장 쉽다’는 뜻인데 실제에 있어서는 그 반대 즉, ‘사랑을 하는 것이 가장 어려운 경우가 많다’는 것이 ‘양보’다음의 내용이다. 정답】④ ※ 다음 대화 중 밑줄 친 곳에 들어갈 가장 적합함 표현을 고르시오. (5∼6) 5. A : Excuse me. I bought this radio here, and it doesn't work. B : Do you have your receipt? A : No. I lost it. Can I exchange the radio for another one? B : Without your receipt, it's hard. A : Believe me. I bought it this morning. B : Then do you have any identification? A : Yes, I have a driver's license, and a credit card. B : O.K ________ All you have to do is go to the manager's office, right over there. ① Your opinion doesn't stand. ② I couldn't help it. ③ All of them matter. ④ Either will do. 어구】① 당신의 의견은 확실치가 않아요. ② 어쩔 수 없죠 뭐. ③ 그 모든 것이 중요합니다. 해설】앞서 A가 ‘I have a driver's license, and a credit card.’라고 했으므로 정답】④ 6. Mary : Our student from Seoul arrived on Monday. Bill : What's her name? Mary : Soon-hee. Bill : That's a pretty name!________ Mary : She's really nice. I'm sure we'll get along well. We seem to have a lot in common. Bill : How do you know that already? What does she like doing? Mary : Well, she likes dancing, and so do I. And we both like listening to the same kind of music. Bill : Oh, that's good. I can't wait to meet her. ① What does she look like? ② What's she like? ③ How is she now? ④ What would she like to do? 【어구】① 그녀는 어떻게 생겼을까? (외모, 생김새) ② 그녀는 어떤 사람일까? (인격, 성품, 취향, 스타일) ③ 그녀는 지금 어떨까? (현재의 컨디션이나 형편) ④ 그녀는 무엇을 하고 싶어 할까? 【해설】특히 ①과 ②에서 질문자가 묻고자 의도하는 차이를 구분하여야 하는 문제이다. 【정답】② 7. 밑줄 친 곳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은? For many years, alligator skin was popular in the United States for making fashionable leather shoes and purses. From 1870 to 1965 at least ten million alligators were killed in the United States for leather. Then, in 1967, the government made laws against hunting alligators. After that the alligator population began to grow again. Now there are < >. ① more alligators than there were in 1967 ② more alligator hunters than in 1870 ③ still more alligators killed in America ④ fewer alligators than they expected 【어구】② 1870년보다 더 많은 악어 사냥꾼들이 ③ 미국에서 죽게 된 더욱 더 많은 악어들 ④ 그들이 예상한 것보다 더 적은 악어들 【번역】여러 해 동안, 악어가죽은 유행했던 가죽 구두와 지갑을 만들기 위한 것으로서 미국에서 인기가 있었다. 1870년에서 1965년 사이에 가죽 때문에 적어도 천만 마리의 악어가 미국에서 잡혀죽었다. 그러다가, 1967년에, 미 정부는 악어를 사냥을 금지하는 법을 만들었다. 그 이후 악어의 개체 수는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이제 1967년보다는 있었던 것 보다는 더 많은 악어들이 있다. 【해설】결정적인 단서는 ‘Then, in 1967, the government made laws against hunting alligators.’이다. 【정답】① ※ 다음 각 글을 읽고 밑줄 친 곳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8∼9) 8. Wildlife officials would introduce five bears to the Bitterroot Mountains each year for five consecutive years, starting in 2002. They anticipate that the grizzly population, with its slow reproductive cycle, would take more than 100 years to reach the projected goal of about 300 bears. Wildlife officials have a plan < >. ① to live with five bears in the Bitterroot Mountains ② to observe the grizzlies' behavior in a wild state ③ to set bears free to increase their population ④ to reproduce bears in an extremely controlled situation 【어구】① Bitterroot산에 다섯 마리의 곰과 함께 살 ② 야생상태에서 회색곰들의 행동을 관찰할 ③ 회색곰들의 개체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그들을 풀어놓을 ④ 극도로 통제된 상황에서 곰들을 번식시킬 【번역】야생동물 관리들은 2002년부터 시작하여 5년간 연속하여 매년 Bitterroot산에 다섯 마리의 곰을 도입할 것이다. 그들은 느린 번식주기를 갖고 있는 회색곰의 개체 수가 약 300마리의 예상목표에 도달하는데 100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해설】‘5년간 연속하여 다섯 마리의 곰을 풀고 100년 이상이 걸려서 약 300마리의 예상목표에 도달’한다는 것은 ④의 경우와 같은 '통제된 상황(controlled situation)'을 설정한 것이라고 봐야 한다. ③에서는 개체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목표라면 한 번에 가급적 많은 곰을 풀어놓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 【정답】④ 9. The Hawthorn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e late 1920s and early 1930s. The management of Western Electric's Hawthorne plant, located near Chicago, wanted to find out if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lightning, could affect workers' productivity and morale. A team of social scientists experimented with a small group of employees who were set apart from their coworker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is group's work area were controlled, and the subjects themselves were closely observed. To the great surprise of the researchers, the productivity of these workers increased in response to any change in their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rate of work increased even when the change (such as sharp decrease in the level of light in the workplace) seemed unlikely to have such an effect. It was concluded that the presence of the observers had caused the work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feel special. As a result, the employees came to know and trust one another, and they developed a strong belief in the importance of their job. The researchers believed that this, not the changes in the work environment, accounted for the increased productivity. The Hawthorne experiment suggests that . ① social scientists are good workers ② worker' attitudes are more important than their environment ③ even those Hawthorne workers who were not in the experiment improved their productivity ④ productivity in electric plants tends to be low. 【어구】• conduct : 처신․행동하다; 경영․관리․수행․진행하다; 지휘‧안내하다 • lightning : 조명 • productivity : 생산성 • morale : 사기, 의욕; 도덕, 도의 • be set apart from : …로부터 분리되다 • coworker : 함께 일하는 사람, 동료 • subject : 주제, 제목; 학과, 과목; 신하, 가신, 국민; 실험 재료, 피실험자; (文) 주어, 주부 • in response to : …에 반응하여 • account for : 설명하다; (비율․수치 등을) 차지하다; …의 이유를 밝히다, 원인이 되다, 책임을 지다 ① 사회과학자들은 훌륭한 일꾼들이다 ② 근로자들의 태도가 그들의 환경보다 중요하다 ③ 실험 대상자에 포함되지 않은 호손 근로자들조차 그들의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④ 일렉트릭 공장의 생산성은 낮은 경향이 있다 【번역】호손실험은 1920년대와 1930년 초에 진행되었다. 시카고 근교에 위치한 웨스턴 일렉트릭사의 호손공장의 경영진은 조명과 같은 환경요인들이 근로자들의 생산성과 사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알아내기를 원했다. 일단의 사회과학자들은 동료들로부터 분리된 소수의 근로자들로 실험을 했다. 이 집단의 작업구역(작업실)의 환경조건은 통제되었으며 피실험자 자신들도 면밀히 관찰되었다. 연구자들이 크게 놀랍게도, 이 근로자들의 생산성이 환경조건에서의 어떤 변화에도(이 문맥상은 부정적일 것 같은 변화에도) 반응하여 증가했다. (작업장에서의 조명수준의 현저한 감소와 같은) 변화가 그러한 영향을 미칠 것 같지 아니한 때조차 작업속도는 증가했다. 관찰자들의 존재가 실험집단의 근로자들로 하여금 특별하다고 느끼게 했을 것이라는 결론이 나온 것이다. 결과적으로, 근로자들은 서로를 알게 되었고 신뢰하게 되었으며 그들의 일의 중요성에 대한 강한 믿음이 생겨나게 된 것이다. 연구자들은 작업환경에서의 변화가 아닌 이런 것이 생산성의 증가의 원인이 된 것으로 믿었다. 【해설】생산능률의 향상에 중요한 요인은 작업환경보다는 함께 작업하는 사람들 간의 인간관계 등 심리적 안정감이 보다 중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 1924∼32년에 미국의 호손공장에서 진행되었던 실험에 관한 내용이다. 【정답】② 10. 아래의 글들을 문맥에 맞게 순서대로 연결한 것은? 가 : In one study, biometeorologists suggested a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bone density and temperature. Some Hungarian scientists found an increase in dental periostitis (gum inflammation) with the passage of a warm front. According to some Swedish doctors, migraine headaches increase three days after a change in barometric pressure and temperature. 나 : In Europe, where biometeorology began and has flourished, it's assumed that ordinary weather affects ordinary human beings in myriad ways. 다 : Meanwhile, researchers in Japan noticed an increase in asthma attacks when the wind changes direction. ① 나-다-가 ② 다-가-나 ③ 나-가-다 ④ 다-나-가 【어구】• biometeorologists : 생물 기상학자들 Cf. biometeorology : 생물 기상학 • a statistical correlation : 통계적 상관관계 • bone density : 뼈의 밀도 • dental periostitis : 치(齒) 골막염(gum inflammation : 치은염) • a warm front : 온난전선 • migraine (headaches) : 편두통 • barometric pressure : 기압 • flourish : 번창하다, 번성하다, 무성하다 • in myriad ways : 무수한 방법으로 • meanwhile : 그 동안에, 이럭저럭 하는 사이에; (이야기가 바뀌어) 한편으로는, 그런가 하면 • asthma attacks : 천식 발병(발작) 【번역】 가 : 한 연구에서, 생물 기상학자들이 뼈의 밀도와 온도간의 통계적 상관관계를 제시했다. 일부 헝가리 과학자들은 온난전선이 통과하면서 치 골막염(치은염)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일부 스웨덴 의사들에 따르면, 편두통은 기압과 기온에 변화 있은 지 3일후에 증가한다. 나 : 생물 기상학이 시작되고 번성해온 유럽에서는 보통의 날씨가 보통 사람들에게 무수한 방법으로 (무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되고 있다. 다 : 그런가 하면, 일본에서의 연구자들은 바람이 방행을 바꾸게 될 때 천식발병 건수가 증가한다는 데 주목했다. 【해설】나(생물 기상학이 유럽에서 번성)-가(유럽의 헝가리 과학자들과 스웨덴 의사들의 사례 예시)-다(일본 연구자들의 사례 예시) [유럽 ⇨ 유럽에서의 사례(‘In one study,’에 주목할 것) ⇨ 일본에서의 사례(meanwhile을 통해서도 논리적 전개의 마지막 단계를 알 수 있다.)] 【정답】③ 11. 아래 글의 밑줄 친 곳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말은? When it comes to American presidential elections, blue blood ( ) . So say British researchers who predict Democratic challenger John Kerry will oust President Bush on Nov. 2 simply because he boasts more royal connections than his Republican rival. After months of research into Kerry's ancestry, Burke's Peerage, experts on British aristocracy, reported on Monday that the Vietnam War veteran is related to all the royal houses of Europe and can claim kinship with Czar Ivan "The Terrible," a previous Emperor of Byzantium and the Shahs of Persia. "Because of the fact that every presidential candidate with the most royal genes and chromosomes has always won the November presidential election, the coming election - based on 42 previous presidents - will go to John Kerry." Similar research carried out on Bush ahead of the 2000 presidential race showed that he beat Al Gore in the royal stakes claiming kinship with Britain's Queen Elizabeth as well as with Kings Henry Ⅲ and Charles Ⅱ of England. ① is to be made little of ② counts ③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Bush ④ fails the Vietnam War veteran 【어구】• when it comes to + (동)명사 : ∼이라는 계제가 되면, ∼에 관해서라면, ∼에 관한 한, ∼의 점에서는 • blue blood : 귀족의 혈통; 귀족(명문) 출신의 사람 • oust : 내�다, �아내다; 빼앗다 • royal connections : 왕가와의 연줄 • ancestry : 조상, 선조; 집안, 가문, 혈통 • aristocracy : 상류(특권) 계급, 귀족 (계급) • veteran : 고참, 노병; 퇴역군인 • kinship : 친척관계, 혈족관계; 유사 • Czar Ivan : 이반 황제 • Shah : 이란 국왕의 존칭 • genes and chromosomes : 유전(인)자와 염색체 • carry out : 수행하다, 실행하다, 집행하다 • stake : 내기(에 건돈); 이해관계, 관여, 개인적 관계(연관)(connection); 상(금) ① 경시될 수 있다(또는 경시되어야 한다) ② 중요하다 ③ 부시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④ 베트남전 퇴역군인을 저버리다 【번역】미국의 대통령 선거에 관한 한, 귀족의 혈통(명문집안 출신)이냐가 중요하다. 그러므로 민주당 상원위원인 도전자 존 케리가 그의 공화당 경쟁자(부시)보다 더 많은 왕가의 연줄을 자랑한다는 이유만으로 11월 2일 대통령선거에서 부시대통령을 쫓아낼 것이라고 예측하는 영국의 연구자들을 예로 들어보자. 케리의 형통에 관한 수개월간의 연구가 있고 난 다음, 영국귀족에 관한 전문가들인 Burke's Peerage는 월요일 베트남전의 퇴역군인(전쟁영웅)(존 케리)이 유럽의 모든 왕가와 관련이 있으며 비잔틴의 한 이전 황제였던“The Terrible” 이반 황제와 페르시아 국왕들과의 혈족관계를 주장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가장 많은 왕가의 유전인자와 염색체를 가진 모든 대통령 후보자가 항상 11월의 대통령선거에서 승리해 왔다는 사실 때문에, 다가올 선거는 - 42번의 이전 대통령들을 근거해 볼 때 - 존 케리에게 (승리가) 갈 것이다.”2000년 대통령 선거에 앞서 부시에 대해 실시된 유사한 연구의 결과도 그가 영국의 헨리 3세 및 찰스 2세 왕들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영국의 엘리자베스여왕과의 혈족관계를 주장하는 왕가의 연관에 있어 앨 고어를 패배시켰음을 보여주었다. 【해설】밑줄 친 다음의 모든 내용들이 왕가와의 혈족관계가 많을수록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해 왔다는 내용을 볼 때‘귀족의 혈통(명문집안 출신)이냐가 중요하다.’고 볼 수밖에 없다. count가 1형식 문형으로 쓰일 때 ‘중요하다(=matter, be important)’의 뜻임을 유념하자. 【정답】② ※ 다음 각 글의 제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12~13) 12. The economic struggle in America continues; but it seems apparent that the struggle is no longer between the giant segments of our society, but within them. Battles for power and control are being fought within some of the large corporations, enlivened by wars in which the big prizes are stockholders' votes or proxies. Similarly, struggles for power are taking place within the large labor organizations. In each case public opinion seems to be playing an increasingly important part, judging by the dramatic efforts being made to inform the people about the partisan positions. And so long as the battleground involves public favor, moderation seem neither implausible nor unnatural. ① A compromise in disputes between labor and capital ② The importance of votes and proxies ③ Public influence of internal industrial conflicts ④ The need for moderation in labor-management disputes 【어구】• struggle : 몸부림, 발버둥; 노력, 고투; 투쟁 • apparent : 명백한, 분명한; 표면상의, 외양상(만)의 • segments : 구분, 부분, 단면 • large corporations : 대기업 • enliven : 활기를 띠게 하다, 원기를 돋우다, 경기를 좋게 하다 • stockholders' votes or proxies : 주주들의 투표와 대리투표(위임장) • take place : 발생하다, 일어나다; (예식 등을) 거행하다 • public opinion : 여론 • play an increasingly important part : 점점 중요한 역항을 하다 • judge by : …으로 판단하다 • dramatic efforts : 극적인(상당한) 노력 • partisan positions : 당파적 입장 • battleground : 전쟁, 싸움터; (비유) 논쟁점 • moderation : 적당; 중용; 온건; 절제, 완화 • implausible : 받아들이기(믿기) 어려운; 그럴듯하지 않은, 이상한 ① 노동과 자본 간 분쟁에서의 타협 ② 투표(권)와 대리투표(권)의 중요성 ③ 산업내부의 갈등에 대한 일반인의 영향 ④ 노사분쟁에서의 중용의 필요성 【번역】미국에서의 경제적 투쟁은 계속되고 있지만 그러한 투쟁이 더 이상은 우리사회의 거대한 부분 간이 아니라 그들 내부에 있는 것 같다. 권력과 통제력을 얻기 위한 싸움은 큰 상이 주주들의 투표권과 대리투표권인 전쟁으로 인하여 활기를 띠게 된 일부 대기업들 내에서 벌어지고 있다. 유사하게, 권력을 얻기 위한 투쟁은 대규모 노동조직체(노조)들 내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 당파적 입장에 대해 일반인들에게 알리려는 상당한 노력이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해 볼 때 여론이 점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 같다. 그리고 논쟁점이 일반인의 후원(지지)와 관련이 있는 한, 중용은 받아들이기 힘들거나 부자연스러운 것 같다. 【해설】기업들과 노동단체들이 힘을 얻기 위한 투쟁에 있어 여론의 존재가 점차 중요 고려요소로 등장하고 있다는 것이 마지막 두 개의 문장에서 잘 나타나 있다. 【정답】③ 13. Then there was the dark side. Amid the glories of the century lurked some of history's worst horrors: Stalin's collectivization, Hitler's Holocaust, Mao's Cultural Revolution, Pol Pot's killing fields, Idi Amin's rampages. We try to personalize the blame, as if it were the fault of just a few madmen, but in fact it was whole societies, including advanced ones like Germany, that embraced or tolerated madness. What they had in common was that they sought totalitarian solutions rather than freedom. Theologians have to answer the question of why God allows evil. Rationalists have one almost as difficult: Why doesn't progress make civilizations more civilized? ① The Global Century ② The Century of Capitalism ③ The Century of Revolution ④ The Genocidal Century 【어구】• amid : ∼의 한가운데에(한복판에), ∼에 에워싸여; 한창 ∼하는 중에 • glory : 영광, 영예; 영화 • lurk : 숨다, 숨어 기다리다, 잠복하다; 잠재해 있다 • horror : 공포, 전율; 참사 • collectivization : 집산주의(集産主義) • Holocaust : 전소사(全燒死), 대학살, 몰살; (the H∼)(나치의) 유태인대학살 • Cultural Revolution : 문화혁명 • rampage : (성나서) 날뛰기, 야단법석; 광포한 행동 • fault : 결점, 흠, 단점, 결함; 과실, 잘못, 실책; (과실의) 책임, 탓 • embrace : 포옹하다; 포용하다, 받아들이다; 포함하다 • tolerate : 관용하다; 참다, 인내하다 • totalitarian solution : 전체주의적 해결 • theologian : 신학자 • rationalist : 합리주의자, 순리론자 • progress : 전진; 진보, 향상, 발당 ① 전(全)세계적 세기 ② 자본주의의 세기 ③ 혁명의 세기 ④ 대학살의 세기 Cf. genocidal : 집단(대량) 학살의 【번역】그 다음에는 어두운 측면이 있었다. 그 세기(20세기)의 영광의 한가운데에 역사상 최악의 일부 참사들이 잠복하고 있었다. 즉, 스탈린의 집산주의, 히틀러의 유태인대학살, 마오쩌둥의 문화혁명, 폴 포트의 킬링필드, 이디 아민의 광란. 우리는 이러한 일이 극소수의 광인들의 잘못인양 이러한 책임을 개인화하려고 애쓰지만 사실 광기를 포용하고 관용한 것은 다름 아닌 독일과 같은 선진화된 사회를 포함한 전체 사회였다. 그들이 가지고 있던 공통점은 그들이 자유를 위해서라기보다는 전체주의적 해결을 모색했다는 점이었다. 신학자들은 신이 왜 악(惡)을 허용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을 해야 한다. 합리주의자들도 거의 그 만큼 (답을 해야 할) 어려운 질문이 하나 있다. 즉, 어찌하여 진보가 문명들을 보다 문명화되게 하지 못할까? 【해설】본문의 문두에 Then이 있는 것을 보았을 때 20세기에 대한 밝은 측면에 관한 내용이 있었을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dark side만 보아도 정답을 찾기에 무리가 없지만 그 다음 문장에서 나오는 history's worst horrors과 그 대표적 사례들을 보더라도 ④번이 답임을 알 수 있다. 정답】④ ※ 다음 각 글의 밑줄 친 곳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14∼15) 14. I do not mean to suggest that we should seek to eliminate fear altogether from human life. Were this humanly possible it would not be practically < >. Fear is the elemental alarm system of the human organism which warns of approaching dangers and without which man could not have survived in either the primitive or modern worlds. Moreover, fear is a powerfully creative force. ① desirable ② repentable ③ lamentable ④ potential 【어구】• eliminate : (유해한 또는 여분의 것을) 제거‧삭제(철폐)하다;제외하다(고려하지 않다) • altogether : 전적으로, 완전히, 전혀; 다 합하여, 전체로서 • humanly possible : 인력으로 가능한 • practically : 실지로, 사실상; 실질상; 거의, …이나 마찬가지 • elemental alarm system : 기본적인 경보체계 • survive : (…에서) 살아남다, 생존하다, …보다 오래 살다 ① 바람직한 ② 후회할만한 ③ 슬퍼할, 통탄할 ④ 가능한, 잠재적인 【번역】나는 우리가 인간의 삶으로부터 두려움을 완전히 제거하도록 애써야 한다고 제안하고자 하지 않으려 한다. 이것이(두려움을 제거하는 것이) 인력으로 가능한 것이라면(것이라 할지라도) 그것은 사실상 바람직한 것이 아닐 것이다. 두려움은 인간유기체의 기본적인 경보체계인데 이것은 다가오는 위험을 경고해 주며 그것이 없다면 인간은 원시세계나 현대세계에서 살아남지 못했을 것이다. 게다가, 두려움은 강력하리만큼 창조적인 힘이기도 하다. 【해설】두 번째 문단의 내용은 두려움(fear)이 인간의 생존에 필수적인 요건이자 나아가 창조적인 힘이 라고 했으므로 두려움을 제거하려는 노력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을 뒷받침해 준다. 【정답】① 15. In 1966, Edward Hall compared the nature of culture to an iceberg. You can see part of an iceberg, but most of the iceberg is below the water and cannot be seen.( ) , most aspects of culture are not visible. These invisible aspects are things that we are familiar with but don't usually think about or question. ① Nevertheless ② Similarly ③ In contrast ④ After all 【어구】• compare A to B : A를 B에 비유하다 • iceberg : 빙산 • aspect : 양상, 형세, 국면; 생김새 • visible : 눈에 보이는, 볼 수 있는(↔ invisible) ① 그럼에도 불구하고 ③ 대조적으로 ④ (문두에서) 아무튼, 하지만; (문미에서) 역시, 결국 【번역】1966년에, 에드워드 홀은 문화의 본질을 빙산에 비유했다. 우리가 빙산의 일부는 볼 수 있으나 그것의 대부분의 물 아래에 있어 볼 수 없다. 유사하게, 대부분의 문화의 국면들은 볼 수 없다. 이러한 보이지 않는 면들은 우리가 친숙하긴 하지만 평소에는 생각해 보거나 의문시해 보지 아니한 것들이다. 【해설】첫 문장에서‘compared the nature of culture to an iceberg’라고 했으므로 빙산에 관하여 제시한 내용이 끝난 후 이에 비유할 문화(또는 문화의 국면)을 전개할 수 있도록 이어주는 접속부사가 필요하다. 【정답】② 16.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의미하는 바가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One superstition I can't seem to escape is the one dealing with calendars. In my family, we believe it's bad luck to look at ①(a new calendar) before the start of the new year. I can't ignore this because efficient administrative assistants at work hand out new calendars in late November or early December. And some of my coworkers hang ②(them) up as soon as they get them. So at any time, I'm likely to walk into a colleague's space and confront ③(the offending object). If I see one, I avert my eyes. Try as I might to rid myself of ④(this superstition), I'm not willing to take any chances, either. 【어구】• superstition : 미신 • escape : 달아나다, 도망치다, 탈출하다; 벗어나다 • bad luck : 불운, 불행 • ignore : 무시하다 • efficient : 능률적인; 유능한, 실력 있는 • administrative assistant : 행정보조원 • at work : 집무 중에(인), 일하고(는), 현역으로(의); 직장에 나가 • hand out : 나누어주다, 배포하다, 분배하다 • coworker : 같이 일하는 사람, 동료 • confront : 직면․당면하다, 맞서다, 맞닥뜨리다 • offending object : 불쾌감을 주는(성가신) 물건 • avert : (눈‧생각 등을) 돌리다, 비키다; (위험 등을) 피하다, 막다 • rid oneself of : 면하다, 벗어나다 • be not willing to v : 기꺼이 …하지 않다, …하기를 사양하다 • take chances : 운에 맡기고 해보다, 위험을 무릅쓰다 【번역】내가 벗어날 수 없을 것 같은 하나의 미신은 달력을 다루는 것에 관한 미신이다. 우리 집안에서, 우리는 신년이 시작되기 전에 ①새해 달력을 보는 것은 불운인 것으로 믿는다. 나는 유능한 현역 행정보조원들이 11월 말이나 12월 초에 신년 달력을 배포하기 때문에 이것을 무시할 수 없다. 그리고 나의 동료들도 달력을 받자마자 ②그것들을 걸어둔다. 그러므로 어느 때라도, 나는 한 동료가 있는 곳으로 걸어 들어가 ③불쾌감을 주는 이 물건과 맞닥뜨릴 수 있는 것이다. 내가 만일 하나를 보게 되면, 나는 나의 눈을 돌린다. ④이러한 미신을 없애려고 아무리 애쓸지라도, 나는 역시 기꺼이 운에라도 맡기고 해 보려하지 않는다. 【해설】①, ②, ③은 모두 미신의 매개체가 되는‘새해(신년) 달력(들)’을 나타내지만 ④는 ‘새해 달력을 미리 봄으로써 운이 나쁘다’는 미신 그 자체이다. 【정답】④ 17. 다음 우리말을 영어로 옮기는 경우, 적절하지 않은 것은? 내가 집을 나오자마나, 비가 몹시 내리기 시작했다. ① The moment I left home, it began to rain heavily ② No sooner had I left home than it began to rain heavily. ③ As soon as I left home, it began to rain heavily. ④ I never left home without beginning to rain heavily. 【어구】② = I had no sooner left home than it began to rain heavily. = I had hardly(/ scarcely) left home when(/ before) it began to rain heavily. = Hardly(/ Scarcely) had I left home when(/ before) it began to rain heavily. 【해설】④는 일단 without다음에 동명사 beginning에 대한 의미상의 주어인 소유격 its를 넣어야 한다. Cf. I never left home without its beginning to rain heavily. (내가 집을 나오면 언제나 비가 몹시 내리기 시작했다.) = Whenever I left home, it began to rain heavily. = When I left home, it always began to rain heavily. 【정답】④ 18. 다음 우리말을 영어로 가장 잘 옮긴 것은? 5세 미만의 9백만 명 아이들이 적어도 한 명의 흡연자가 있는 집에 산다. ① Nine million children below the age of 5 live in homes with one smoker. ② Nine million children above the age of 5 live in home with at least one smoker. ③ Nine million children of the age of 5 live in homes where both parents smoke. ④ Nine million children under the age of 5 live in homes where at least one person smokes. 【해설】①에서는 일단 '적어도(at least)'라는 표현이 빠져있다. ②에서는 ‘above'가 거리가 멀고 ③에서는 'of the age of'을 'under the age of'로 바꾸어야 하며 where절속의 내용도 거리가 멀다. 【정답】④ 19. 다음 밑줄에서 문법상 어색한 것은? Toy-related injuries for last year ①(are) estimated at about two million. This is bad news, but, there is good news. Part of good news is that this estimate was about one percent less than ②(those) for the previous year. The other good news is that ③(less than) three percent of these injuries required emergency room visits. However, ④(this) would suggest millions of these injuries were serious. 【번역】지난해 장난감 관련 부상건수는 약 2백만 건으로 추산된다. 이것은 나쁜 소식이지만 좋은 소식도 있다. 좋은 소식의 일부는 이러한 추정치가 그 전해의 부상건수보다 약 1% 적은 수치라는 점이다. 다른 좋은 소식이란 이러한 부상사고 중 3%이하가 응급실을 찾아야 하는 경우였다. 하지만, 이것은 수백만 건은 이러한 부상건수들이 중상이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일 것이다. 【해설】①은 Toy-related injuries에 대한 동사로서 복수가 적절하며 ②는 the estimate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that으로 나타내야 하며 ③은 3% 미만(=under)의 뜻으로 수사 앞에서 적절히 호응하고 있으며 ④는 앞의 문장을 받는 대명사로 사용된 경우로서 문제가 없다. 【정답】② (those → that) 20. 다음 밑줄 친 곳에 들어갈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As in other jurisdictions, public safety determines the priority for snow removal in the district. Clearing and salting efforts focus first on major roads, commuter through fares and designated Snow Emergency Routes. Streets that are narrow, steep, or shaded, receive special attention, ( )scheduled for next day trash collection. Please be patient and allow sufficient time for snow operations to be implemented. ① as do those streets ② do as those streets ③ as those streets do ④ do those streets as 【어구】• jurisdiction : 사법권․재판권(이 미치는 범위), 관할권(한)․구역 • snow removal : 제설(除雪) • salt : (눈‧얼음을 녹이기 위해) 소금을 뿌리다 • focus on : …에 초점을 두다 • commuter thoroughfare : 통근(출퇴근)로(通勤路) • designated Snow Emergency Routes : 지정된 눈비상로, 눈비상지정로 • trash collection : 쓰레기 수거 • snow operation : 눈 관리, 제설 활동 • implement : (사업․약속 등을) 실행․실시하다 【번역】여타의 관할구역들에서도 그런 것처럼, 공공의 안전이 그 지역에서의 제설(除雪)에 대한 우선순위를 정하는 사항이다. 눈을 치우고 (녹이기 위해) 소금을 뿌리는 노력은 먼저 주요도로, 출퇴근로 및 눈 비상지정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좁고 가파르거나 그늘진 거리는 다음날 쓰레기 수거 대상으로 예정된 거리가 그런 것처럼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눈 (제설) 활동이 실시될 수 있도록 인내해 주시고 충분한 시간을 감안해 주십시오. 【해설】밑줄 다음에 과거분사인 scheduled가 놓여 있는 것으로 보아 수식의 대상의 명사를 그 앞에 위치시키다 보면 자연스럽게 도치된 문장이 요구되는 구조이다. 대동사인 do는 receive special attention을 뜻한다. 이것과 똑 같은 아니지만 비교급에 사용되는 접속사 as나 than다음에도 대동사를 사용할 경우 도치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정답】① 선생님 보기 편하시라고 제가 편집을 좀 했는데..땀나네요ㅋ 날씨도 조금 더워진 거 같구요..열강하시는 선생님..건강 챙기시면서 수업하시길 바랍니다^^전 경남 지방직을 향해서 또 열심히 달릴게요ㅋ |
|
ENARO : | 다행히도 수업중에 설명한 것이 좀 보이네요. 문제 올려 주어서 감사합니다. 참고하여 더 열심히 가르치도록 하겠습니다. |
19.
기초 질문입니다. 영어를 뒤늦게 열심히 배우고 있는 학생입니다. 문제를 풀다가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 이렇게 글을 쓰게 되었어요~ 기초문제인데 질문을 해야하나 말아야하나 고민했지만, 너무 답답해서 이렇게 질문을 합니다^^* Q:문법적으로 틀린 곳을 적절히 고치시오. Computer software consisting of programs in languages not spoken by any human race. --->consistig이 잘못된거라는데...이해가 잘..이 문장에서 spoken을 부정하는데 바로 not을 써도 되는건가요?조동사르 필요로 하는것이 아니구요...?? He argued yesterday that North Korea is trying to collect secret informations on South Korea. --->information은 불가산명사라서 복수로 표현이 안되기때문에 틀렸다는데..그럼 앞은 과거인데 that이하가 현재로 진행되어도 되는건가요??글고 국가명앞에 in이 아니라 on이 오는건가요? 그리고 국가명앞에 전치사는 꼭 필요한건가요? 답변 부탁드려요^^ |
|
|
|||||
|
|||||
|
|||||
|
20.
도와주세요~~~ I said nothing, which made him the more angry. 맞는 문장인가요? |
|
|
|||||
|
'FREE Q & 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관 련 질문과 해답 그리고 소리들(6) (0) | 2008.05.21 |
---|---|
영어 관련 질문과 해답, 그리고 소리들(5) (0) | 2008.05.21 |
영어 관련 질문과 해답 그리고 소리(4) (0) | 2008.05.21 |
영어 관련 질문과 해답(2) (0) | 2008.05.21 |
영어 관련 질문과 답 모음 (0) | 2008.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