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 ENARO의 수능 대비 자료

중등, 수능 유형별 독해하는 요령

ENARO 2008. 5. 22. 16:33
 

※다음은 진정한 영어 공부를 위한 것이 아니고, 단지 문제를 풀기 위한 방법임을 밝히며

  대한민국 영어교육의 올바른 방향에 위배되는 것임을 미리 밝히고자 합니다.※

※아울러, 이 방법이 절대적인 방법이 아닌 단지 참고 요령이라는 것도 숙지하시기를 바랍니다.※

             

            ☞문제별 독해하는 요령☜

1.모든 문제는 문제부터 읽고, 보기읽고 지문으로 넘어갑니다.


2.영미식글은 두괄식이 거의 90%를 차지하므로, 첫문장을 단디 읽고 넘어갑니다.


3.모든 문제 대할 때 첫 문장을 읽고서 글의 전개가 어떻게 될 것인가 생각해 봅니다.

  (글을 읽는 사람이 아니라 이 글을 쓰는 작가라고 생각하는 사고방식이 필요합니다.)


4.두 문장으로 구성된 난이도 있는 단어 넣기 문제는, (   )가 없는 다른 한 문장에 동   의어나 (     )를 채울 수 있는 KEY WORD(S)가 들어 있음을 명심합니다.


5.연결사, 연결 어구 넣는 문제 - (      )앞과 (      )가 속해 있는 문장의 관계를 면    밀히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

  (EX)일반적인 내용을 말하고, 다음에 구체적인 장소, 사람, 사물, 시간(시대)가 나오거                나, 일화가 나오면 예를 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해답 - for example, for instance)


6.글의 전체 내용을 알 수 있는 주제문 파악 요령(주제, 제목, 요지 찾기 유형)

a.첫 문장 주요

b.마지막 문장 중요

c.예를 들면(for example, for instance)이나 구체적 사람, 사물, 장소, 시간(시대)가 나   오는 앞 문장이 중요

d."그러나(but, however, yet, and yet..)" 다음 문장이 중요

e."고로, 그러므로(so, therefore, as a result, consequently, thus, accordingly, hence, anyway, after             all, in conclusion, in short, in a word, in brief, to sum up)" 다음 문장이 중요

f.첫 문장에 ‘in many ways', 'several ways'등이 들어 있으면 그 문장이 중요

g.제목, 주제, 요지 찾는 문제 : 가.글의 주인공(첫 문장이 명사나 명사구로 시작될 때는     그 명사나 명사구, 제일 많이 등장하는 단어)을 찾고, 그 주인공의 특징(주인공의 무    엇)을 찾으면 주제나 제목문제는 해결할 수 있고, 그 주인공의 특징을 통해서 독자에    게 전달하고자 하는 중심 생각을 찾으면 요지와 부합된다.

  (EX)주인공 - 정직 , 특징 - 많은 장점 , 요지 - 우리 정직하게 살자

나.독해가 거의 안될 때 - 보기에서 본문에서 제일 많이 나오는 단어가 들어가 있는 보    기를 고르고 2개로 압축되면 그 다음엔 guessing할 것

h.주제나 제목찾기 문제에서 보기 2개중에서 혼동될 때는 해당 보기들을 제목으로 정해    놓고 자신이 글을 쓴다고 생각해서 답을 도출해낼 것(역발상이 중요)


                                    - 1 -

I.다음과 같은 어구들을 포함하고 있는 문장이 주제문이 될 가능성이 높다.

  가.“중요성”을 나타내는 어구들: the best, the most, be important etc

  나.“필요성, 의무”를 나타내는 어구들: must, have to, ought to, should, need etc

  다.“최고”를 나타내는 경우: highest, supreme, maximum etc

  라.“강조”구문: “It be -- that"/ "강조”의 조동사 ‘애’가 들어 있는 문장

  마:필자의 의견을 나타내는 어구들:I believe(think, advise, mean), My belief is--

  바.유명한 사람, 심리학자와 같은 전문가 등장시 - 자신의 의견이 전문가의 의견과 동일함을 암시


7.글의 목적 묻는 문제

a.충고, 조언: 보통 명령문으로 시작, must(should, have to, ought to:--해야 한다)가                많이 보임

b.감사: thank, appreciate, be obliged to + 사람, It's very kind(nice) of you to가 있음             첫 문장에 ‘감사한다’는 내용이 나올 경우에는 ‘감사’가 아닌 함정으로 “초대”나         다른 목적의 글인 경우가 많음

c.사과; sorry, apologize 어구가 많이 보임

d.주문: 상품명이 나오고, order어구가 많이 보임

e.추천: 어떤 사람을 칭찬하는 얘기가 나오고, 끝부분에 recommend라는 단어가 보임

※문장 첫 부분에 감사나 사과의 표현이 보이면, 함정일 확률이 높다는 것도 알아둘 것

       

8.글의 종류 문제

a.신문 기사(article): “  ”부분이 많이 보임,

b.연설문: “Ladies and gentlemen"과 같은 호격부분이 들어 있는 경우가 많음

c.광고문: 특정 장소나 특정 물건에 관한 내용인 경우가 많음

d.안내문: 특히 끝부분에 구체적 일시, 장소, 행사목적등이 나와 있는 경우가 많음

※주로 토익식은 광고문이나 신문기사가 나오는 경우가 많음


9.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일치하지 않는 것은?)

a.보기가 한글인 경우는 보기 먼저 보고, 영어인 경우는 본문부터 본다.

b.주의해야 할 표현들

●S should(ought to) have p.p : “S는 --했어야만 했다”(실제로는 하지 않았다)

●S shouldn't(ought not to) have p.p :“S는 -하지 말았어야 했다”(실제로는 해 버렸다)

●S may have p.p : “S는 --였을지 모른다”(과거의 추측)

●S can't have p.p : “S는 --였을 리가 없다”

●S must have p.p : “S는 --했음에 틀림없다”

●S need have p.p : “S는 --할 필요가 있었는데”(실제로는 안했다) 

●S needn't have p.p : “S는 --할 필요가 없었는데”(실제로는 했다)

●S could have p.p: "S는 --할 수 있었을텐데.“(실제로는 못했다.)

●S couldn't have p.p: "S는 --할 수 없었을 텐데.“(실제로는 했다)

●S had better have p.p: "S는 --하는 게 좋았을텐데.(실제로는 못했다.)

●S used to Ⓡ:1.--하곤 했다. 2.왕년에(과거에) --였다(현재와 반대되는 과거의 사실)

●barely, rarely, hardly, scarcely, seldom, few, little(거의 --않다)          - 2 -

10.앞에 나올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첫 문장이 중요하며, 첫 문장의 접속사나 연결어구, 지시형용사나 대명사가 힌트어구

●not only(merely, just, simply) A but also B = B as well as A의 어구가 있을 때    에는, 앞에는 A에 대한 내용이, 다음엔 B에 대한 내용이 나옴

대개 본문이 원인이면 앞 문단은 결과이고, 본문이 결과이면 앞 문단은 원인인 경우가 많음


11.다음에 나올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마지막 문장에 결정적 힌트를 제공하나, 첫 문장도 유심히 살필 것


12.글의 분위기나 심경 파악 문제

●날씨 표현, 형용사의 의미(좋은 의미, 나쁜 의미), 사물에 대한 감정 이입을 살핌

●보기에 나오는 기본적인 형용사들은 반드시 암기해 놓을 것  


13.단어 찾기 문제는 우선 좋은 뜻의 단어가 필요한 지, 나쁜 의미의 단어가 필요한 지    부터 살핀 후, 보기에서 고를 것


14.(       ) 문제

●(        )들어 있는 문 장 유의해서 볼 것

●(        )문장이 문두에 있으면, 바로 뒷 문장과 마지막 문장 유의해서 볼 것

●(        )문장이 문미에 있으면, 바로 윗 문장과 첫 번째 문장 유의해서 볼 것


15.글의 흐름으로 보아 주어진 문장이 들어가기에 알맞은 곳은?

●제시문의 접속사나 연결사(but, however, 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although, even though, even if)와 지시사(this, that, it → 단수 / these, those,       they → 복수), 그리고 another, also, other, finally등의 어구를 통해 문제 해결

●a.“a(an) + 명사” b.“the(this, that) + 명사”가 들어간 문장들이 있을 때 - “a가 선행” 

●주어진 문장이 들어갈 다음 문장에 대개 확인해 주는 어구가 들어가 있음(지시사등)


16.실험(experiment), 분석(analysis), 조사(survey)와 관련된 문제

●실험, 분석, 조사의 결말부분(문단의 끝부분)이 중요


17.논쟁(argument, dispute, debate) 관련문제

●대개 중간부분까지 논쟁의 찬성과 반대 내용이 나오고 끝부분에 필자의 견해(찬성,      반대, 중립)를 밝힘 - 마지막 문장 단디 볼 것


18.밑줄친 부분의 의미로 A가 의도한 것과 B가 의도한 것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대개 humorous한 내용(받아들이는 사람은, 노인이나 아이 또는, 비정상적 사람이 등장)

●전체적인 상황(장소나 등장인물들의 특징)을 염두에 둘 것

●말하는 사람은 상식적인 얘기를 하고, 받아들이는 사람은 엉뚱하게 받아들임


                                   - 3 -

19.문법(어법) 문제

●능동, 수동, ●자동사, 타동사 ●병렬구조  ●시제  ●접속사등을 기본적으로 살필 것  


20.주고 받은 글들이다. 순서대로 연결하라? (A), (B), (C)를 순서대로 연결하면?

●(A), (B), (C)에 힌트어구가 들어 있으므로, 힌트어구를 잘 살핀다.

●제시문의 접속사나 연결사(but, however, on the other hand, for example,            although, even though, even if)와 지시사(this, that, it → 단수 / these, those,       they → 복수), 그리고 another, also, other, finally등의 어구를 통해 문제 해결

●a.“a(an) + 명사” b.“the(this, that) + 명사”가 들어간 문장들이 있을 때 - “a가 선행” 


21.윗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할 때 빈 칸에 적절한 것은?

●보기를 보면서 아래의 요약된 문장부터 주의깊게 해석

●보기는 주로 윗 글의 주제문의 주제어의 동의어로 나오는 경우가 많음

●윗 글을 읽어 가며 문제 해결


22.다음에서 관계없는 문장을 고르시오?

●첫 문장은 보기가 없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주제문이기 때문입니다.

●첫 문장다음에 “그러나”라는 어구가 나오면, 그 문장이 주제문이 됩니다.

●주제문에서 “주인공(주제어)의 특징(무엇)”을 찾아 한 문장씩 대입시켜 나가면 해결됨


23.영영사전 문제

단어를 공부할 때, 기본적이지만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되는 단어나 숙어는 잘 정리해 둡니다. 

해당 지문의 내용에, 아래 보기의 기본적인 우리말 의미를 하나씩 대입해서 말이 되는 것이 답    이 됩니다. - 대입법 사용


★기타 속독(빠른 독해)시 유의해야 할 내용★

1.독해 지문이 길다고 해서 겁을 먹지 말 것 - 길수록 독해 내용은 쉽다.(긴 지문일수록                                       주제문은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경우가 대다수임)

2.자신이 영어를 못하는 사람이라는 패배의식을 절대 가지지 말 것

●좋을 글이란, 어려운 문장이 나왔다면 그 다음엔 같은 의미의 문장이 독자가 이해하    기 쉽도록 다시 연결되므로, 자신이 독해할 수 있는 부분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전체     문장을 유추해 보는 능력이 중요

  즉 다시 말해서, 처음 보았을 때 모르는(생각이 나지 않는) 단어나 문장이 나오면, 그    단어나 문장이 중요한 단어일 경우에는 뒤에 쉬운 단어나 문장으로 다시 설명해 주므    로 모르는 부분은 빨리 빨리 넘어가는 것이 중요


 3.처음에 생각한 답이 다음에 읽어볼 때 틀린 것이 확실하면 고치고, 혼동될 때에는 처     음에 생각한 답을 적는 것이 좋다 - 문제와의 첫 번째 교감 중시

                            

 4.체크한 답의 번호를 따라 문제 푸는 오류를 금할 것

   Try your best, and you will be a world.                   - 4 -